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2012 한-국제기구 공동 ICT 글로벌 심포지엄 개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12-12-10
  • 등록일 2012-12-10
  • 권호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는 세계은행,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유네스코, 인텔과 공동으로 12월 11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신라호텔에서 ‘디지털 시대의 양질의 교육을 위한 양질의 콘텐츠(Quality Content for Quality Education in the Digital Age)’라는 주제로 『2012 한-국제기구 공동 ICT 글로벌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 2007년 이래 올해로 6번째를 맞게 된 동 심포지엄은 매년 국제기구 및 개발도상국 교육정보화 정책담당자와 전문가들을 초대하여, 교육정보화 발전 성공경험과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국가 간 지식정보격차 해소방안을 공동으로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되어 왔다.


□ 금년에는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에 위치한 20개 국가 교육정책결정자 40여명과 월드뱅크, 유네스코에 종사하는 전문가 및 인텔 아시아·태평양 지역 전문가 등이 참여하여

○ 국가 간 공동번영과 지식정보격차의 극복을 위하여 양질의 교육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공동 협력방안을 논의하고, 한국의 스마트 교육을 통한 미래교육에 대한 비전을 공유하게 된다.


□ 동 심포지엄은 기조연설, 각국 교육정책가의 교육정보화 정책의 성공사례 발표 및 교육자원공유 등에 대한 다양한 논의뿐만 아니라, 한국의 스마트 교육현장 참관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임진혁 교수는 기조연설에서 ‘교수학습에서의 혁신 모델’이라는 주제로 개방교육자원(Open Education Resource)을  활용한 학생의 학습 변화 혁신에 대해 발표하고, 충남대학교 천세영 교수는 ‘한국의 스마트 교육, 모든 이를 위한 교육’이라는 주제 아래 우리나라의 스마트 교육을 소개하고, 미래교육 비전을 제시한다. 

○ 유네스코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은 대학의 교육자원공유(RISS?KOCW), 모바일 러닝 등에 대해 발표하며 교육정보화 분야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경험을 공유하고 의견을 나눌 계획이다.

○ 그밖에 교육정보화 민관연 협력(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모델로서 정부의 스마트 교육 정책과 관련하여 기업에서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스마트 교육 프로젝트(스마트스쿨 등)를 소개한다. 

○ 또한, 각국의 교육정책결정자들은 서울 이태원초등학교의 스마트 교실 수업을 참관하여 미래 교육 시스템을 체험하고, 서울사이버대학교의 아세안 사이버대학 설립 프로젝트 소개와 시설관람을 통해 한국의 교육정책과 비전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도 가질 예정이다.


□ 참가자들은 이번 심포지엄이 “지속적인 국제교류협력 및 소통의 장을 통해 개도국의 교육정보화 정책결정자에게 한국을 비롯한 선진 교육정보화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교육정보화 정책 수립 및 발전방향 정립에 도움을 주고, 글로벌 교육격차 해소에도 일조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