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국토부, 수중건설로봇 본격 개발 착수로 심해 해양개발 앞당긴다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국토해양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3-01-10
- 등록일 2013-01-10
- 권호
국토해양부
2013년 연구개발사업으로 ‘미래 해양개발을 위한 수중건설로봇’ 개발사업(이하 “수중건설로봇사업”) 추진.
□ 수중건설로봇이 개발될 경우
심해 수중 작업을 로봇이 수행함에 따라 해양작업 범위가 확대되고, 효율성이 높아질 뿐 아니라, 해외장비의 국산화로 수입대체
효과도 기대.
ㅇ 동 사업은 2012년도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 시행한 예비타당성조사에서 기술성과 사업 타당성을 인정받아 통과한 사업.
ㅇ 1단계로 2018년까지 총 850억원의 연구개발비를 투자하게 되며, 금년도에 국비 20억원 투입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
□ 수중건설로봇사업은 ROV기반 로봇과 트랙기반 로봇 등 2종의 로봇 연구개발과 성능평가 시험을 위한 수조 등 인프라를 구축사업.
* ROV(Remotely Operated Vehicles) : 원격조정 로봇
□ 선진국들은 이미 다양한 수중건설로봇을 현장에 적용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수중건설 관련 장비의 100% 해외 임대에 의존.
ㅇ 육상자원 고갈에 따른 해양구조물 및 수중건설시장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해상풍력 발전, 해양플랜트 건설 등
해양개발 수요가 연안에서 대수심으로 옮겨가는 추세로 수중 시공현장의 위험성 및 유인공사의 한계 등을 감안
수중건설장비 국산화가 시급한 형편.
□ 수중건설로봇 기술은 해양개발 및 미래 해양개척의 핵심요소기술로, 해양에너지, 해양플랜트 등 다양한 신산업 창출을 통해
국가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게 될 것이며, 수중건설장비가 전무한 현 상황에서 기술의 종속화를 벗어나 선진국과 대등한
경쟁력을 확보 가능케 함.
□ 수중건설로봇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하여 1월 10일 관련 전문가 워크숍을 개최하여 의견을 수렴한 후 본 사업에 착수할 계획이
며, 향후 개발이 완료될 경우 5년간 해외 임대료 2,000억원 절감 및 6,100억원의 핵심부품 국내수입 대체 효과 기대.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