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KISTEP, 과학기술과 크라우드 펀딩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3-01-18
- 등록일 2013-01-18
- 권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Issue paper 2012-20,
과학기술과 크라우드 펀딩
- 사람과 기술을 이어주는 투자
□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비용을 재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해법으로써, 소셜 펀딩(Social Funding)이라고도 불리는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의 개념과 현황을 소개하고 연구 보조금으로서 크라우드 펀딩 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제도 구축
방안을 제시.
□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은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구축을 위해 관련 정책 발굴, 투자관리 시스템 선진화, 정부와 민간의 역할 분담을
위한 효율적 포트폴리오 등을 구축해 나가고 있음.
□ 우리 정부도 조만간 크라우드 펀딩법 도입 계획이 있으나 아직은 제도적 근거가 미비한 상태임.
□ 크라우드 펀딩이 대중과 과학 간의 괴리를 해소할 수 있는 주요 통로로써 역할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
[목차]
1.작성배경
2.크라우드 펀딩에 대한 이해
3.연구보조금으로서의 크라우드 펀딩
4.결론 및 시사점
(끝).
과학기술과 크라우드 펀딩
- 사람과 기술을 이어주는 투자
□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비용을 재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해법으로써, 소셜 펀딩(Social Funding)이라고도 불리는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의 개념과 현황을 소개하고 연구 보조금으로서 크라우드 펀딩 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제도 구축
방안을 제시.
□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은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구축을 위해 관련 정책 발굴, 투자관리 시스템 선진화, 정부와 민간의 역할 분담을
위한 효율적 포트폴리오 등을 구축해 나가고 있음.
□ 우리 정부도 조만간 크라우드 펀딩법 도입 계획이 있으나 아직은 제도적 근거가 미비한 상태임.
□ 크라우드 펀딩이 대중과 과학 간의 괴리를 해소할 수 있는 주요 통로로써 역할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
[목차]
1.작성배경
2.크라우드 펀딩에 대한 이해
3.연구보조금으로서의 크라우드 펀딩
4.결론 및 시사점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