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학영재학교 교육 연계활성화를 위한 협력 MOU체결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3-01-18
  • 등록일 2013-01-18
  • 권호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학영재학교

교육 연계 활성화를 위한 협력 MOU 체결

- 공동 AP과정, 학생 연구활동 및 멘토링 지원을 위한 상호 협력 활성화


□ 교육과학기술부는 한국과학기술원, 울산과학기술대학교, 광주과학기술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포항공과대학교 등 5개 과학기술

    특성화대학과 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 서울과학고, 경기과학고, 대구과학고 등 4개 과학영재학교가 1월 18일(금) KAIST

    에서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 과학영재학교의 교육 연계 협력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다고 밝힘.

 ○ 이번 업무협약은 작년 2월 “교과부-5개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상호 교류 및 협력 활성화 MOU”에서 논의한 대학과목 선이수과정

    (이하 “AP과정”, Advanced Placement) 개설·운영
등에 따라,  



 ○ 국가의 우수 과학기술인재 양성을 위한 고교와 대학 과정에서의  중추 기관인 과학영재학교와 과학기술특성화대학 간 교육 연계

    체계를 구축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



□ 이번 협약을 통해 운영하게 될 공동 AP과정은 대학 수준의 수학·과학 분야의 심화과목에 해당되는 것으로, 미적분학I․II,

    확률 및 통계, 일반물리I․II, 일반물리학실험I․II, 일반화학I․II, 일반화학실험 I․II, 일반생물 등 총 12과목.

 ○ 공동 AP과정은 전문성을 갖춘 교사에 의한 운영이 필요하므로, 해당 전공 석사 학위 이상을 소지한 영재학교 교사가 수업을 진행

     하며,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이 AP교사 연수를 지원.



 ○ 교육과정은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 공동으로 개발 완료한 교육과정 표준안을 반영하여, 영재학교별로 강의계획서를 수립하여 

     운영.



 ○ AP과목에 대한 평가는 영재학교에서 자율적으로 실시. 영재학교는 과학기술특성화대학에 평가문항과 학생성적 분포도를 제공하

     며, 각 대학은 학점 인정 기준을 정하여 영재학교에 안내.

  

 ○ AP과정을 이수한 영재학교 학생이 과학기술특성화대학에 입학한 경우, 대응 과목을 신청하여 대학 학점으로 인정 받을 수 있음.  



□ 또한, 효율적인 AP과정 운영 지원을 위해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에 AP 지원센터를 설치·운영.

 ○ AP 지원센터는 교육과정 운영 관리, AP과목 담당교사 연수 지원, 학점 인정 협약 지원 등의 역할을 담당.



□ 이번 협약에는 공동 AP과정 운영 외에도, 과학영재학교에서 대학 교수의 지도 하에 학생 스스로 연구 과제를 수행하며 학습할 수

   있는 학생 연구활동(R&E)과 과학기술특성화대학 교수에 의한  이공계 진로 지도 멘토링에 대해 적극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음.

 ○ 또한, 과학기술분야 심화·전문 교육 지원 등 상호 협력이 필요한 사안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협력할 계획.



□ 이번 협약 체결은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 과학영재학교의 교육 연계를 강화함으로써 국가 우수 과학기술인재 양성과 이공계 진로

   를 촉진하는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였다는데 의의. 

 ○ 특히, 공동 AP과정을 통해 고등학교 과정에서 대학 수준의 교과 과정을 이수한 과학영재학교 졸업생은 과학기술특성화대학에 

     진학 후 3년 내에도 졸업할 수 있게 되어, 과학영재학교-과학기술특성화대학 간 ‘3+3년 교육과정’ 운영 여건이 조성.



□ 교육과학기술부는 과학영재학교의 공동 AP과정이 내실있게 운영되고 정착될 수 있도록 재정 등을 지원해나갈 계획이며, 

 ○ 과학고등학교 등에서도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의 AP과정이 운영될 수 있도록 추진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힘.



첨부파일1

-보도자료

-과학영재학교 간 협력 MoU 체결 계획(안)

-과학영재학교 공동 AP 운영안

-과학영재학교 협력 협약서



첨부파일2

-과학기술특성화대학MOU체결 보도자료(2012.2.16)



첨부파일3

-과학기술특성화대학간연계협력방안(2012.2.16)

(끝)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