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환경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환경R&D 본격 추진한다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환경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3-01-23
  • 등록일 2013-01-23
  • 권호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공동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환경 R&D 본격 추진

-환경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13년부터 8년간 총 835억 원 투입 국가연구개발사업 본격 시행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등 국가 기후변화대응 정책의 효율적 시행을 위한 기술들이 개발될 것으로 기대


□ 온실가스 감축의무 부과, 신(新) 무역장벽 도입 등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 요구가 높아진 가운데, 최근 급속해진 지구온난화와 이에 따른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의 기반기술 개발이 본격적으로 추진.



□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하 기술원)은 23일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 움직임에 동참하고 국가 정책을 효과적으로 수립할 수 있도록 2013년부터 ‘기후변화 대응 통합정책기반기술 개발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힘.



□ 이 연구개발 사업은 2년에 걸친 사업타당성 조사 결과, 2013년부터 8년간 총 835억 원의 국가연구개발비를 투입해 실시하기로 결정됨.

○ 연구의 내용은 한국형 온실가스 감축모형 개발을 비롯해 온실가스 감축 관리를 위한 기반기술과, 기후변화의 영향 및 취약성 평가 모델, 의사결정 지원 모델 등의 기후변화 적응 관리기술.



□ 환경부와 기술원은 이 연구개발을 통해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및 지원 등 기후변화 대응정책의 과학적 근거를 확보해나갈 계획.

○ 특히,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 및 비용 분석과 관련해서는 신뢰성 높은 수준의 결과를 도출해서 국내 주력 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는 동시에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도록 할 예정.



○ 또한, 기후변화 적응정책 및 기술의 최적화를 통해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과 피해를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의 2011년 연구에 따르면, 기후변화정책을 효과적으로 수립할 경우, 우리나라는 2100년까지 약 800조 원의 누적피해액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추산.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관계자는 “기후변화 관련 정책을 총괄하기 위한 연구사업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이 연구는 연구성과가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와 우리나라의 기후변화적응대책에 활용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밝힘.


첨부파일

-보도자료

-기후변화대응 통합정책기반기술개발사업 개요



(끝)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