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특허청, 2015-2017년 특허권 만료예정 물질 정보 공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특허청
  • 주제분류 지식재산
  • 원문발표일 2015-02-23
  • 등록일 2015-03-09
  • 권호 41

○ 특허청은 3년 이내 특허권이 만료되는 물질특허 540건에 대한 정보를 민간에 공개


 - 2015-2017년에 존속기간이 만료되는 물질특허 : 의약 분야가 249건(46.1%), 화학소재 123건(22.8%), 바이오 109건(20.2%),

    농약 40건(7.4%), 화장품 12건(2.2%), 식품 7건(1.3%)


○ 대표적 만료예정 물질


 - 국내 처방약 매출액 1위 만성 B형 간염치료제 ‘바라크루드’(연매출 약 1,600억 원)의 주성분 ‘엔테카비르’ (2015년 10월 만료)

 
 - ’비아그라‘와 함께 발기부전치료제 시장을 이끌어온 ’시알리스’(연매출 약 250억 원)의 주성분 ‘타다라필’ (2015년 9월 만료)


 - 에이즈치료제 ‘칼레트라정’(세계시장규모 : 약 13억 달러)의 주성분 ‘리토나비어‧로피나비어’(2016년 12월 만료)


○ 특허청이 제공한 특허권 만료예정 물질정보 자료집에는 각 물질특허의 특허정보*뿐만 아니라, 해당물질을 이용한 제품정보**

    같이 수록되어 있어 신제품 개발과 개량물질 연구, R&D 활성화 등 그 활용 가치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


  * 초록, 대표청구항, 존속기간 만료일, 특허분쟁사항 등
**  제품명, 유효성분 구조식, 용도, 허가일, 시장규모 등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