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미래성장동력-산업엔진 종합실천 계획(안)」발표회 개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산업통상자원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5-03-24
  • 등록일 2015-04-06
  • 권호 43

○ 미래부-산업부는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핵심과제이자 창조경제 대표 신산업 창출의 핵심전략인 「미래성장동력-산업엔진

    종합실천계획(안)」에 대한 발표회를 개최


 - 실천계획은 미래부가 마련한 「미래성장동력 실행계획」의 2015년 연동계획*과 산업부가 작년 하반기부터 마련한 「산업엔진

    프로젝트 발전계획」을 통합한 계획


   * 연동계획(Rolling plan) : 경제·사회적 상황 변화에 따라 이미 수립한 계획을 조정 또는 수정하여 1차 년도부터 다시 출발하는

      계획


○ 정부는 2015년에 약 1조원 투자*를 시작으로 2020년까지 약 5.6조원을 투자하여, 2024년까지 수출 1천억 달러 규모의 신산업을

    육성할 계획


   * 주요 분야별 투자액(잠정치) : 사물인터넷(772억), 지능형 로봇 (700억), 착용형 스마트기기(983억), 5G 이동통신(771억),

      스마트자동차(282억), 지능형 반도체(608억)


○ 「미래성장동력 종합실천계획(안)」의 주요 특징


 - (정책통합) 미래부와 산업부가 각각 추진해오던 미래성장동력(13대 분야)과 산업엔진 프로젝트(13대 분야)를 통합해 ‘19대

    미래성장동력’으로 확대 개편


 - (투자 효율화) 미래성장동력 각 분야 육성을 위한 정부와 민간의 역할을 새로 정립하고, 부처간 역할분담 체계 명확화


 - (연구개발) 전략적 기술개발을 위해 개발 초기단계부터 핵심SW를 연계한 기술개발을 추진, 핵심취약기술은 산학연 공동개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선진기술을 확보


 - (인프라 지원) 창의‧융합형 고급 연구인력을 양성, 시험평가용 연구장비, 국제표준화 및 인증 지원체계 등 기술 인프라 구축


 - (성과 가시화) ‘창조경제박람회’ 개최(11월) 등을 통해 국민들이 현장에서 미래성장동력을 직접 체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