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서비스경제 발전전략」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미래창조과학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07-07
  • 등록일 2016-07-18
  • 권호 74

○ 정부는 경제관계장관회의(7.5)에서 「서비스경제 발전전략」을 확정


  ※ 기재부, 미래부, 산업부, 교육부, 고용부, 복지부, 문체부, 금융위, 국토부 합동


 - (목표)


  ① OECD 수준으로 서비스산업의 고용·부가가치 비중 확대


  ※ 고용 비중 : (’15년) 70% → (’20년) 73%부가가치 비중 : (’15년) 60% → (’20년) 65%


  ② 유망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일자리 25만개 추가 창출


 - (3대 추진전략)


  ① 서비스-제조업의 융합발전


  ② 서비스경제 인프라 혁신


  ③ 7대 유망서비스업* 육성


  * 의료서비스 선진화, 다시찾고 싶은 문화관광국의 기틀 마련, 융복합 콘텐츠 개발, 디지털화·글로벌화를 통한 교육산업 도약,

    혁신적 금융서비스 창출,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 갈 SW 개발, 물류선진국의 초석 마련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