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유해배기가스 활용 친환경 차 부품 생산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특허청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6-09-20
  • 등록일 2016-10-10
  • 권호 79

○ 특허청에 따르면, 폴리케톤의 제조 및 제품 개발 관련 출원이 ‘14년부터 급격히 증가 

 

 - 플리케톤은 우리나라 기업이 ‘13년에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  

 

 - 최근 국내 기업, 연구소 및 대학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특허 출원이 급증 

 

  ※ 폴리케톤 : 자동차 유해 배기가스 중 하나인 일산화탄소(CO)와 석유화학계 올레핀을 합성하여 제조하는 신소재, 가볍고 강해

      자동차 경량화용 친환경 소재로 활용 가능 

 

 - (폴리케톤 출원현황 ‘06~‘15년) 국내 출원인의 비중이 높고, ‘14과 ‘15년에는 1건을 제외하고 모두 국내 출원인에 의해 출원 

 

 - 주요 국내 출원인은 ㈜효성이 261건, ㈜현대자동차가 7건을 기록했고, 효성의 출원 비중은 84.5%로 매우 높음 

 

 - ‘08년까지는 폴리케톤 제조 관련 출원 비중이 높고, ‘09년 이후로는 폴리케톤 조성물 관련 출원 비중이 증가 

 

 - (‘13년 이후) 폴리케톤을 활용한 자동차용 엔진 커버 등의 제품(용도) 관련 출원 증가하여 ‘15년에는 출원 비중이 약 89%까지 향상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