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
통계
「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주요 내용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4-01-27
- 등록일 2014-02-17
- 권호 16
「과학기술혁신역량 평가*」 주요 내용
* 과학기술혁신역량을 5개 부문(자원, 환경, 네트워크, 활동, 성과) 및 13개 항목으로 나누어 과학기술혁신역량지수를 산출한 후, OECD 30개국을 비교・분석하는 방식으로 2006년부터 매년 실시(미래부・KISTEP) |
□ 우리나라의 2013년도 과학기술혁신역량 종합순위는 8위로 전년 대비 1단계 상승
○ GDP 대비 정부연구개발예산, 인구 만 명당 연구원 수, R&D 투자 상위 대학 및 기업 수, 최근 15년간 논문·특허 수 등
양적지표의 순위 상승이 종합순위 상승에 상당한 영향을 미침
<부문별, 항목별 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결과(’13)>
부문 | 항목 | 부문 평균 (‘13년도) | 한국순위 | 상대수준*(%) | 최고국 | |||
‘13년 | 우리 나라 | OECD 평균 | ||||||
지수 | 순위 | 지수 | 순위 | |||||
자원 | 인적자원 | 1.387 | 9 | 1.083 | 12 | 58.5 | 50.5 | 미국 |
조직 | 0.145 | 8 | 7.2 | 8.5 | 미국 | |||
지식자원 | 0.160 | 8 | 8.0 | 9.3 | 미국 | |||
활동 | 연구개발투자 | 3.998 | 4 | 3.487 | 2 | 94.3 | 48.6 | 미국 |
창업활동 | 0.511 | 22 | 27.4 | 39.8 | 터키 | |||
네트 워크 | 산‧학‧연 협력 | 1.561 | 13 | 1.038 | 3 | 96.6 | 48.2 | 네덜란드 |
기업 간 협력 | 0.322 | 23 | 32.2 | 55.9 | 핀란드 | |||
국제 협력 | 0.200 | 18 | 10.0 | 20.1 | 룩셈부르크 | |||
환경 | 지원제도 | 3.143 | 20 | 0.635 | 24 | 39.2 | 60.2 | 미국 |
물적 인프라 | 1.656 | 1 | 100 | 70.9 | 한국 | |||
문화 | 0.852 | 20 | 50.0 | 61.2 | 캐나다 | |||
성과 | 경제적 성과 | 1.777 | 12 | 1.183 | 7 | 54.4 | 40.7 | 아일랜드 |
지식창출 | 0.593 | 16 | 34.7 | 35.7 | 일본 |
* 출처 : ’13년도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 평가결과(’14.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