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정책 관련 통계 정보

통계
통계
「2013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의 주요내용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5-01-16
- 등록일 2015-02-09
- 권호 40
「2013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의 주요내용
* OECD 가이드라인(Frascati Manual)에 따라 전국의 34,100개 공공연구기관과 기업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방식으로 진행(미래부·KISTEP)되었으며 2013년도 수행 전체 연구개발비, 분야별 연구개발현황, 기업 연구개발현황, 연구개발 인력현황
등을 포함(2015.1.16)
□ 2013년 우리나라의 총 연구개발비는 전년대비 3조 8,508억원(6.9%) 증가한 59조 3,009억원으로 세계 6위권
○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0.13%p 상승한 4.15%이었고, 미국 달러 환산* 연구개발비는 54,164백만 달러로
세계 6위권, GDP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
* R&D관련 통계에 OECD가 적용하는 2013년 한국의 환율 1,094.85원/달러 적용
<연구개발비 국제비교>
* 2012년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13. 12) 당시, GDP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4.36%였으나, 한국은행의 국민계정 개편(1993
SNA에서 UN이 새롭게 제시한 2008 SNA 적용, ’14. 3. 26)에 따라 GDP 증가효과(비용으로 처리되던 R&D, 예술품 등 지식
재산생산물과 무기시스템 등을 자산으로 처리 등)가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GDP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하락.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의 비중과도 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