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
통계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15–2016」의 주요내용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15-09-30
- 등록일 2015-10-26
- 권호 56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15–2016*」의 주요내용
* 국가경쟁력지수(GCI)는 한 국가의 경제 성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상대적 지표로, 세계경제
포럼(WEF)에서 매년 발표(2015.9.30)
□ 세계경제포럼(WEF)의 국가경쟁력지수(GCI)는 세계140개 국가를 ①기본적 요인(Basic requirements),
②효율성 증진(Efficiency enhancers), ③혁신 및 기업성숙도(Innovation and sophistication factors) 등
3가지로 측정
○ 기본적 요인(Basic requirements)의 세부지표
- ①제도, ②인프라, ③거시경제환경
○효율성 증진(Efficiency enhancers)의 세부지표
- ①고등교육․훈련, ②상품시장 효율성, ③노동시장 효율성, ④금융시장 발전, ⑤기술적 준비도, ⑥시장크기
○혁신 및 기업성숙도(Innovation and sophistication factors)의 세부지표
- ①비즈니스 성숙도, ②혁신
□ 이번에 발표된 국가경쟁력지수(GCI)에 따르면, 1-3위는 전년과 마찬가지로 스위스-싱가포르-미국으로 나타났고,
우리나라도 전년과 동일한 26위를 차지
○ 우리나라는 거시경제환경이 6.6점으로 5위를 기록하며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금융시장발전도가 3.6점으로 87위를 기록하며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
<세계경쟁력지수(Global Competitiveness Index, GCI)>
세부지표 | 순위 | 전년순위 | 점수(1-7) | 1위국 (점수) | |
GCI 2015–2016 (140개국) | 26 | - | 5.0 | 스위스(5.76) | |
| GCI 2014–2015 (144개국) | 26 | - | 5.0 | 스위스(5.70) |
GCI 2013–2014 (148개국) | 25 | - | 5.0 | 스위스(5.67) | |
GCI 2012–2013 (144개국) | 19 | - | 5.1 | 스위스(5.72) | |
기본요인 | 18 | 20 | 5.7 | 싱가포르(6.20) | |
| 제도 | 69 | 82 | 3.9 | 핀란드(6.10) |
인프라 | 13 | 14 | 5.8 | 홍콩(6.69) | |
거시경제환경 | 5 | 7 | 6.6 | 노르웨이(6.83) | |
보건‧초등교육 | 23 | 27 | 6.3 | 핀란드(6.87) | |
효율성 증진 | 25 | 25 | 4.8 | 미국(5.76) | |
| 고등교육훈련 | 23 | 23 | 5.4 | 싱가포르(6.02) |
상품시장효율성 | 26 | 33 | 4.8 | 싱가포르(5.72) | |
노동시장 효율성 | 83 | 86 | 4.1 | 스위스(5.80) | |
금융시장발전 | 87 | 80 | 3.6 | 뉴질랜드(5.73) | |
기술적 준비도 | 27 | 25 | 5.5 | 룩셈부르크(6.42) | |
시장크기 | 13 | 11 | 5.6 | 중국(6.98) | |
혁신 및 기업성숙도 | 22 | 22 | 4.8 | 스위스(5.78) | |
| 비즈니스 성숙도 | 26 | 27 | 4.8 | 스위스(5.79) |
혁신 | 19 | 17 | 4.8 | 스위스(5.7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