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관련 통계 정보

통계

통계

「IMD World Talent Report 2015」의 주요내용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5-12-04
  • 등록일 2015-12-07
  • 권호 59
첨부파일

「IMD World Talent Report 2015」의 주요내용


   ※ 세계인재보고서(World Talent Report)는 주요 61개국, 약 6,200명의 경영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각 국의 인적

       자원 경쟁력을 평가하여 매년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에서 발표(2015.11.)

□ 세계인재보고서(World Talent Report)는 30개의 세부지표로 3가지 요소*를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각 국의 인적

   자원 경쟁력 평가


   * 평가요소 : ① 인재에 대한 투자 및 개발 요소(Investment and development factor), ② 인재 유인 요소(Appeal factor),

     ③ 시장 수요에 부합하는 인재 준비성 요소(Readiness factor)


□ 한국은 종합 31위를 차지한 가운데, 각 평가요소에서도 중위권에 머무름


○ (인재에 대한 투자 및 개발 요소) 31위(44.4점)


 - 세부지표 중, ‘보건 인프라’는 16위로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고, ‘여성 노동력’은 47위를 기록 

 

○ (인재 유인 요소) 32위(58.5점)


 - 세부지표 중, ‘인재 유인 및 확보’와 ‘개인 소득세율 효율성’은 모두 13위로 가장 높았으나, ‘두뇌 유출’, ‘근로자의 노동의욕’,

   ‘생계비 지수’는 각각 44위, 54위, 56위로 하위권에 머무름


○ (인재 준비성 요소) 31위(53.4점)


- 세부지표 중, ‘교육평가’, ‘노동력 성장’은 4위, 9위로 상위권이나, ‘고위 관리직 경쟁력’은 44위, ‘근로자들의 국제경험’은 47위로

  나타남
 

<세계 인재 순위>

순위

종합(점수)

투자 및 개발 요소

유인 요소

준비성 요소

1

스위스(100.0)

덴마크(100.0)

스위스(100.0)

스위스(100.0)

2

덴마크(83.7)

스위스(98.1)

미국(88.6)

싱가포르(96.8)

3

룩셈부르크(78.6)

오스트리아(92.0)

룩셈부르크(83.2)

네덜란드(88.6)

4

노르웨이(78.1)

벨기에(88.7)

캐나다(79.5)

핀란드(88.1)

5

네덜란드(77.1)

핀란드(87.6)

독일(79.1)

캐나다(85.7)

6

핀란드(76.4)

노르웨이(85.7)

노르웨이(78.2)

덴마크(85.0)

7

독일(74.9)

독일(85.5)

아일랜드(77.4)

아랍 에미리트(84.5)

8

캐나다(74.2)

스웨덴(82.4)

아랍 에미리트(77.4)

홍콩(83.6)

9

벨기에(73.8)

룩셈부르크(81.9)

덴마크(73.4)

호주(83.0)

10

싱가포르(72.2)

리투아니아(81.3)

홍콩(73.2)

벨기에(81.1)

31

한국(44.4)

한국(53.4)

32

한국(58.5)

한국(46.5)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