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
통계
「국가별 글로벌 혁신에 미치는 영향력(기여도와 저해도) 순위」의 주요내용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6-02-26
- 등록일 2016-02-29
- 권호 64
「국가별 글로벌 혁신에 미치는 영향력(기여도와 저해도) 순위*」의 주요내용
* Contributors and Detractors: Ranking Countries’ Impact on Global Innovation
※ 미국 정보기술혁신재단(ITIF)는 세계 경제의 90%를 차지하는 56개국의 혁신정책을 27개 지표로 평가하여 각국의 1인당 국제적혁신 기여, 정부 정책의 국제 기여, 국내 혁신 성공과 국제적 혁신 기여의 상관관계 등을 분석(’16.1.20)
□ 종합점수를 고려했을 때, 국제적 혁신에 가장 기여한 국가는 핀란드, 스웨덴, 영국, 싱가포르, 네덜란드 순으로
나타남
※ 총 27개 지표로 평가하여 국제적 혁신에 대한 기여지표 14개(조세, 인적자본, R&D기술로 구분)와 저해지표 13개(분열된 생산
시장, 지적재산권보호 미비, 분열된 소비시장으로 구분) 사용
○ 기여지표를 기준으로, 국제적 혁신에 정책적 기여가 가장 많은 국가는 싱가포르, 한국, 핀란드 순으로 나타남
○ 저해지표*를 기준으로, 국제적 혁신을 가장 적게 저해한 국가는 핀란드, 네덜란드, 벨기에 순으로 나타남
- 가장 많이 저해한 국가는 태국, 중국, 인도 순이며, 자국 산업을 보호 육성하기 위해 해외 기술에 높은 관세를 적용하는 등 중상
주의적 정책을 시행
* 점수가 높을수록 적게 저해하여 혁신기여 순위가 높음
□ 한국은 종합순위 21위로, 기여도 부문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점수를 받아 3위를 기록했으나 저해도 부문에서
42위를 기록
<주요국의 국제적 혁신 기여 순위>
순위 | 국가 | 종합점수 | 기여점수 | 저해점수 |
1 | 핀란드 | 15.6 | 14.1(3) | 13.9(1) |
2 | 스웨덴 | 14.2 | 13.9(4) | 11.1(5) |
3 | 영국 | 13.7 | 13.7(5) | 10.4(7) |
4 | 싱가포르 | 12.3 | 15.0(1) | 5.9(22) |
5 | 네덜란드 | 12.1 | 9.6(10) | 12.4(2) |
6 | 덴마크 | 11.6 | 13.5(6) | 6.2(20) |
7 | 벨기에 | 11.4 | 9.4(11) | 11.3(3) |
8 | 아일랜드 | 10.9 | 8.7(16) | 11.2(4) |
9 | 오스트리아 | 10.5 | 9.2(12) | 9.7(9) |
10 | 미국 | 10.5 | 8.5(17) | 10.4(6) |
14 | 일본 | 9.2 | 11.3(8) | 4.3(27) |
21 | 한국 | 5.9 | 14.7(2) | -6.9(42) |
44 | 중국 | -10.5 | 0.7(28) | -22.6(55) |
※ 출처 : 정보기술혁신재단 (http://www2.itif.org/2016-contributors-and-detractors.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