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관련 통계 정보

통계

통계

「글로벌 에너지 구성 성과지수 보고서(EAPI) 2016」의 주요내용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03-11
  • 등록일 2016-03-14
  • 권호 65
첨부파일

「글로벌 에너지 구성 성과지수 보고서(EAPI) 2016*」의 주요내용


     * Global Energy Architecture Performance Index Report 2016


  ※ 세계경제포럼(WEF)은 125개 국가의 에너지 체계 성과를 3대 부문 18개 세부지표**를 적용하여 EAPI*** 분석 결과를

      발표 (’16.3.2)


   ** 3대 부문별 세부지표: ① 경제성장 및 발전기여도(에너지집약도, 연료수출입액, 연료가격) ② 환경 지속성(배출량,

       저탄소 연료 비중) ③ 공급 접근성·보안(자체공급량, 공급 다양성 ,배전수준)


  *** 에너지 구성 성과지수(EAPI) : WEF는 액센츄어 컨설팅업체와 협력하여 18개 지표를 활용한 국가별 에너지 성과평가

       결과를 매년 발표

□ 본 보고서에 따르면, 에너지부문 성과가 높은 국가는 스위스, 노르웨이, 스웨덴 순으로 나타났으며, 유럽국이 상위

   10개국 중 8개국을 차지


○ 이들 상위 국가들은 공통된 특징보다는 부존자원, 지리적 환경, 정책결정 등 전반적인 영향으로 성과가 높은 것으로 평가 


○ 우리나라의 경우, EAPI 평균점수 0.60보다 약간 높은 0.63으로 55위를 기록


  ※ ‘선진 경제국(Advanced economies)으로 분류된 국가 중 이스라엘(58위), 에스토니아(60위), 말타(65위), 사이프러스(66위)를

      제외하면 우리나라는 가장 낮은 순위로 평가


<주요국의 EAPI 2016 결과>

순위

국가

종합점수

경제성장 및 발전

환경적 지속가능성

에너지 접근성 및 보안

변화 추이
(’09-’16)

1

스위스

0.79

0.72

0.76

0.88

+1

2

노르웨이

0.78

0.65

0.74

0.95

-1

3

스웨덴

0.76

0.61

0.80

0.89

+1

4

프랑스

0.76

0.60

0.80

0.88

-1

5

덴마크

0.76

0.67

0.70

0.91

+1

6

오스트리아

0.75

0.64

0.74

0.88

+3

7

스페인

0.75

0.65

0.74

0.87

+5

8

콜럼비아

0.75

0.74

0.67

0.84

+3

9

뉴질랜드

0.75

0.59

0.75

0.90

+4

10

우루과이

0.74

0.69

0.73

0.81

+16

16

영국

0.71

0.60

0.66

0.89

-1

24

독일

0.70

0.58

0.63

0.87

-8

48

미국

0.64

0.54

0.50

0.89

+5

50

일본

0.64

0.53

0.56

0.84

-28

55

한국

0.63

0.55

0.52

0.84

-9

94

중국

0.53

0.45

0.42

0.71

+1

※ 출처 : 세계경제포럼 (http://www3.weforum.org/docs/WEF_GlobalEnergyArchitecture_2015.pdf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