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
통계
「OECD 구조개혁 평가 보고서(Going for Growth)」의 주요내용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03-25
- 등록일 2016-03-28
- 권호 66
「OECD 구조개혁 평가 보고서(Going for Growth)」주요내용
* OECD는 지속가능성장을 위해 구조개혁이 필수적이라는 인식하에 매년 회원국에 필요한 구조개혁 정책 권고 및 이행실적을 평가한 보고서 발간(’16.2.)
□ OECD는 회원국 및 주요 비회원국을 8개로 그룹화 하여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도전과제 제시
<국가 그룹별 주요 도전과제 요약>
그룹 | 국가명 | 주요 도전과제 |
1 | 그리스, 이태리, 스페인 등 | ․높은 청년 및 장기 실업률 |
2 | 체코, 헝가리, 폴란드 등 | ․OECD 선진국 대비 낮은 생산성 |
3 |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등 | ․낮은 평균근무시간, 주택시장 위험 |
4 | 벨기에, 핀란드, 프랑스 등 | ․높은 실업률, 노동시장 조기 퇴출 |
5 | 호주, 미국, 영국 등 | ․높은 지식기반 투자 비해 낮은 생산성 증가 |
6 | 한국, 독일, 일본 | ․고령화, 낮은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 상대적으로 낮은 서비스산업 생산성 |
7 | 칠레, 러시아, 중국 등 | ․낮은 생산성 및 지식기반 투자 |
8 | 브라질, 인도, 남아공 등 | ․인프라산업 병목현상, 교육부문 저성과 |
□ 한국의 핵심 구조개혁 과제로 서비스 부문 저생산성, 급속한 고령화 등의 문제해결을 권고
○ (서비스 생산성 제고) 네트워크 산업, 전문 서비스, 소매유통 부문 규제를 완화하여, 경쟁과 혁신 촉진
○ (고령화 극복) 일·가정 양립을 위한 근로환경 개선 등을 통해 여성의 전일제 노동시장 참여 확대
<주요국 서비스 분야 생산성>
※ 출처 : OECD 홈페이지(http://www.oecd.org/eco/growth/goingforgrowth.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