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관련 통계 정보

통계

통계

「기업의 생산성과 국제경쟁력: 일본과 한국의 제조업 비교분석」 주요내용

  • 국가 일본 , 한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6-04-08
  • 등록일 2016-04-11
  • 권호 67
첨부파일

「기업의 생산성과 국제경쟁력: 일본과 한국의 제조업 비교분석」 주요내용 

 

 ※ NISTEP은 ’94년부터 ’10년까지 양국 기업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조업 분야에서 한일 양국의 상대적인 국제경쟁력 변화

    요인을 △기술수준의 차이를 나타내는 생산성 격차의 변화 △상대적인 요소가격 및 중간재 투입가격 △실질환율 변화와

    같은 다각적인 관점에서 정량적으로 비교

□ ‘94~’10년까지 한국 노동자의 실질임금율은 거의 모든 산업에서 배로 증가된 반면, 한국기업의 경쟁력은 일본

   기업과 비교할 때 우위 선점


○ 실질임금 상승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 주요 요인은 △한국의 자동차제조업을 비롯한 많은 산업에서 높은 총요소생산성(TFP)*

    상승 △전기·전자기계기구제조업 등 몇몇 산업에서 중간재 투입가격의 급격한 저하


  * total-factor productivity

 

<산업별 평균생산비용격차변화 요인 : 한일비교(1994-2010)>

 

  ※ 출처 : NISTEP(http://www.nistep.go.jp/wp/wp-content/uploads/NISTEP_DP131_SummaryJ.pdf)


○ 일본 대비, 한국 중소기업의 경쟁력이 대기업보다 높게 나타남


 - ’94년~’10년에 걸쳐 한국 중소기업의 TFP 상승률이 대기업을 상회하였으며,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격차의 경우 일본은 축소된

    반면 한국은 확대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