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관련 통계 정보

통계

통계

「2016 국제 제조업 경쟁력 지수」의 주요내용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6-05-06
  • 등록일 2016-05-09
  • 권호 69
첨부파일

 

「2016 국제 제조업 경쟁력 지수*」의 주요내용

 

 * 2016 Global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Index 

 

 ※ 딜로이트 글로벌과 미국경쟁력위원회는 3년마다 세계 각국의 제조업 현황 및 앞으로의 전망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간.

     본 보고서는 500명 이상의 세계 주요 제조기업 임원들의 설문 응답을 바탕으로 작성됨

 

□ 중국이 현재 국제 제조업 경쟁력 1위를 차지하고 있으나, 향후 2020년에는 미국이 1위를 탈환하고 중국이 2위에

   머물 것으로 전망


○ ’16년 현재 기준, 한국은 중국, 미국, 독일, 일본에 이어 전체 5위를 차지, ’20년에는 인도(’16년 현재 11위)의 진입으로 6위로

    밀릴 전망


< 국가별 국제 제조업 경쟁력 지수, 2016년 및 2020년 >

2016년 현재

2020(전망치)

순위

국가명

경쟁력

지수

순위

순위변화

국가명

경쟁력

지수

1

중국

100.0

1

1

미국

100.0

2

미국

99.5

2

-1

중국

93.5

3

독일

93.9

3

0

독일

90.8

4

일본

80.4

4

0

일본

78.0

5

대한민국

76.7

5

6

인도

77.5

6

영국

75.8

6

-1

대한민국

77.0

7

타이완

72.9

7

1

멕시코

75.9

8

멕시코

69.5

8

-2

영국

73.8

9

캐나다

68.7

9

-2

타이완

72.1

10

싱가포르

68.4

10

-1

캐나다

68.1

 

 

□ 경쟁력 향상 요인별 분석에 따르면, 미국·독일·일본의 경우 인적자원, 사회 기초시설, 혁신지원정책 등 기술 혁신적

   측면에서, 중국·인도의 경우 비용적인 측면에서 경쟁 우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


< 6대 제조 강국 주요 요인별 경쟁력 분석 >

 

 

 

○ 한국은 높은 제조업 순위에도 불구하고, 주요 요인에 대한 강점 및 약점이 불명확한 채 기술우위의 제조 강국과 비용우위의

    제조 강국 사이에 끼어 두각을 나타내지 못함

 


□ 지난 3년간 첨단 기술을 보유한 기술 선진국들의 제조업 시장 경쟁력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


< 기술 수준별 수출 비중 및 2013-16 제조 경쟁력 순위 변화 >

 

 

 

○ 한국의 제조업 구조는 R&D 집약적이고 하이테크 완제품에 집중 

 

※ 산업별 현황 : LCD, TV, 메모리, 조선 부문에서 1위, 스마트폰 제조 부문에서 2위, 자동차 제조 부문에서 5위


< 한국 제조업의 강점 및 위협 요인 > 

분류

내용

강점

상대적으로 저렴한 인건비와 우수한 품질

강력한 기술 혁신 역량

적극적인 자유무역협정(FTA)의 체결

높은 교육 수준

첨단 기술의 혁신을 장려하는 정책

위협요인

수출 주도의 산업 구조로 인한 세계 경기 침체의 영향

관료주의적 정부 체계

노령화의 급속한 진전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