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관련 통계 정보

통계

통계

「과학기술지표 2016」의 주요내용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지식재산
  • 원문발표일 2016-09-02
  • 등록일 2016-09-05
  • 권호 77
첨부파일

과학기술지표 2016의 주요내용

   ※ 일본과학기술·학술정책연구소(NISTEP)은 일본의 과학기술활동을 5개의 범주(연구개발비, 연구개발인력, 고등교육, 연구개발

       결과, 과학기술 이노베이션)와 약 150가지 지표로 일본 상황을 분석해 매년 보고서를 발행(16.8.)

□ 일본의 연구개발비 총액은 미국, 중국 다음으로 큰 규모이며, ‘14년에는 19조엔(OECD 추산: 17조 5000억엔)으로

   나타남


<주요국 연구개발비 총액의 추이 명목액(OECD 구매력 평가확산)>

 

  ※ EU15는 EU원회원국(‘95-’04.4)인 오스트리아, 벨기에 등 서유럽국가 위주로 구성되어 있고, EU28은 현재 불가리, 크로아티아

      등 이전 동유럽 국가 등을 포함한 EU회원국 전체를 지칭

 

일본 경제활동인구당 연구원 수는 최근 10년간 증가율이 낮기는 하나, 이공계열 졸업생(학부·석·박사)이 ‘전문직,

   기술직’에 종사하는 경우가 다수임


<경제활동인구당 연구자 수 추이>

 

 일본은 기술 수출액은 3조 6,603억엔, 기술 수입액은 5,130억 엔으로, 기술수출액의 비중이 압도적임  

 

 - 미국은 기술 수출액이 세계 1위로 약 14조 2,696억 엔이며, 독일은 일본보다 모두 높은 수준임  

 

<주요국 기술무역액 추이>


○ 기술무역 수지 비율은 ‘93년 1을 넘은 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14년 7.1로 높은 수치를 보임 

 

○ 전체 기술무역액 비율을 보면 ‘14년 기술수출액 4.2%, 기술수입액 0.5%임

 

< 주요국 기술무역수지 비율 추이 > 

< 무역액 전체에 대한 기술무역액 비율 >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