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관련 통계 정보

통계

통계

「2016 WEF의 세계경쟁력보고서(Global Competitiveness Report)」발표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 주제분류 지식재산
  • 원문발표일 2016-10-21
  • 등록일 2016-10-24
  • 권호 80
첨부파일

「2016 WEF의 세계경쟁력보고서(Global Competitiveness Report)*」발표 

 

  *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에서는 올해 138개 국가를 대상으로 3대 분야, 12개 부문, 114개 항목(통계 34개, 설문

    80개) 평가 

 

  ※ ‘79년 이후 매년 140여 개국의 국가 경쟁력을 비교·분석


□ ‘16년 한국 국가경쟁력 순위는 전년도와 동일한 26위 

 

○ 3대 부문별 순위는 전년대비 유사하나, 다소 하락하였고, 과학기술 분야인 기술수용성*과 혁신** 부문 모두 전년대비 1단계씩

    하락 

 

  * 국가 및 경제가 산업 생산성 향상을 위해 기술을 채택하는 민첩성 

 

  ** 국가 경제정책의 중심으로 장기간 성장을 이끌 혁신 역량 측정 

 

< 한국의 국가경쟁력, 3대 분야 및 과학기술 부문 순위 추이(2012∼2016) >

 분야 및 부문

2012 

2013 

2014 

2015

2016 

국가경쟁력 순위

19

25

26

26

26(-)

① 기본요인

18

20

20

18

19(↓1)

② 효율성 증진

20

23

25

25

26(↓1)

③ 혁신 및  성숙도

17

20

22

22

22(-)

* 과학기술 부문

_기술 수용성

18

22

25

27

28(↓1)

* 과학기술 부문

_혁신

16

17

17

19

20(↓1)

※ 국가별 상위 5위는 스위스(1위), 싱가포르(2위), 미국(3위), 네덜란드(4위), 독일(5위)로

상위 3국은 전년도와 동일 

 

기술 수용성 부문은 28위(5.54점)으로 전년대비 1단계 하락
­

 

 - 평가지표 9개 중 4개 지표는 상승, 2개 지표는 하락, 3개 지표는 전년 대비 동일한 순위 기록  

 

  ※ 스위스 1위, 룩셈부르크 2위, 영국 3위 순
­

 

 - FDI와 기술이전, 인터넷 사용자 비중이 12단계, 7단계 등의 큰 폭으로 상승 

 

 - 인터넷 사용자 1인당 인터넷 대폭(kb/s)부분이 9단계 하락하였으며, 인터넷 사용자 비중, 인구 백명 당 모바일

   브로드밴드 가입자 수, 인구 백명 당 유선전화 회선 수에서는 전년과 동일  

 

 -­ 상위 20위권 내 아시아 국가는 홍콩(5위), 싱가포르(9위), 일본 (19위) 순임

 

< 기술 수용성 부문 지표 >

순위 상승 지표

순위 

순위 하락 지표

순위

 '15

'16 

'15 

'16 

최신기술의 활용정도

31 

30 

기업의 신기술 흡수 적극성

27 

28 

FDI(외국인 직접투자)와 기술이전

67 

56 

인터넷 사용자 1인당(국제) 인터넷 대역폭

57 

66 

인터넷 이용률

20 

13 

 

○ 혁신 부문 역시 작년 19위에서 올해 20위로 1단계 하락
­

 

- 8개 지표 중 4개 지표는 상승한 반면, 3개 지표에서 하락 

 

 - 정부의 고급기술제품 구매 적극성 부문에서는 13단계의 큰 폭으로 하락을 보여 3년 연속 하락 

 

 - 지식재산권 보호만이 전년대비 3단계 상승하였으며, 인구백만명당 PCT 특허출원 건수에서는 전년대비 점수와 순위가

   다소 상승  

 

­ - 상위 20위권 내 아시아 국가는 일본(8위), 싱가포르(9위), 대만(11위) 순임

 

< 혁신 부문 지표 >

순위 상승 지표

순위 

순위 하락 지표

순위

 '15

'16 

'15 

'16 

과학자 및 기술인력

확보 정도

40 

39

기업의 혁신역량

24 

30 

연구기관의 질적 수준

 27

 34 

인구 백만 명 당 PCT 특허출원 건수

 

 

 

기업의 R&D 투자

적극성

21

23 

산학 연구협력 정도

 26

 29

정부의 고급기술제품 구매 적극성

 24

 37

 

□ 국가경쟁력 평가 중 과학기술과 ICT 관련 분야인 ‘기술 수용성’과 ‘혁신’ 분야는 우리나라 국가경쟁력

   순위(26위)와 비슷 

 

○ ‘기술 수용성’ 및 ‘혁신’ 분야의 지표 상당수가 기업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표로 구성  

 

○ 기술수용성 부문의 세부 분야인 ICT 사용과 인프라에 대한 정량적 분석에서 대부분의 지표가 전년도와 유사한 상위권을 보여,

    전통적 강점 영역임을 재확인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