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
통계
「IMD 국가경쟁력 연감(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 2017」 의 주요내용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17-06-23
- 등록일 2017-06-26
- 권호 97
「IMD 국가경쟁력 연감(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 2017」
매년 발표 경영 효율, ④ 인프라 구축으로 구분하여 각국의 경쟁력을 평가
|
□ ‘17년 63개국 중 한국 국가경쟁력 순위는 전년도과 동일한 29위를 차지
※ 홍콩이 2년 연속 1위를 차지하고, 스위스(2위), 싱가포르(3위), 미국(4위)순임
○ 우리나라는 경제운용성과, 정부효율성은 각각 1,2위가 떨어진 반면 과학인프라 및 기술인프라 순위는 ‘12년 이래 최하위를 기록
※ 4대 평가부문 중 인프라 구축의 하위분야인 과학기술 경쟁력을 중심으로 분석
- 과학인프라는 8위(전년 동일), 기술인프라(2단계 하락)는 17위를 차지
< 2012-2017년 우리나라 국가경쟁력 및 4대 분야별 순위 >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평가대상국 | 59개국 | 60개국 | 60개국 | 61개국 | 61개국 | 63개국 |
국가경쟁력 | 22 | 22 | 26 | 25 | 29 | 29(-) |
■ 경제운용성과 | 27 | 20 | 20 | 15 | 21 | 22(↓1) |
■ 정부효율성 | 25 | 20 | 26 | 28 | 26 | 28(↓2) |
■ 기업효율성 | 25 | 34 | 39 | 37 | 48 | 44(↑4) |
■ 인프라구축 | 20 | 19 | 19 | 21 | 22 | 24(↓2) |
- 과학인프라 | 5 | 7 | 6 | 6 | 8 | 8(-) |
- 기술인프라 | 14 | 11 | 8 | 13 | 15 | 17(↓2) |
디지털트렌드* | - | - | - | - | (17) | 19(↓2) |
※ 디지털 트렌드는 ‘17년 신규지표로, ‘13년 이후에는 과거데이터를 분석하여 반영
○ (과학인프라) 25개 지표 중 전년 대비 6개 지표는 순위 상승, 7개 지표는 하락, 12개 지표는 동일
< 한국의 과학인프라 순위 상승 지표 현황 >
구분 | 연번 | 과학경쟁력 세부지표 | 2016 | 2017 | 변동 |
순위 상승 | 1 | 과학연구 수준이 국제적 기준보다 높은 정도 | 34 | 27 | ↑ 7 |
2 | 산학간의 지식 전달정도 | 34 | 32 | ↑ 2 | |
3 | 총 연구개발투자 | 6 | 5 | ↑ 1 | |
4 | 국민 1인당 연구개발투자 | 14 | 13 | ↑ 1 | |
5 | 총 연구개발 인력 | 6 | 5 | ↑ 1 | |
6 | 연구자/과학자가 국가에 매력을 느끼는 정도 | 34 | 33 | ↑ 1 |
< 한국의 과학인프라 순위 하락 지표 현황 >
구분 | 연번 | 과학경쟁력 세부지표 | 2016 | 2017 | 변동 |
순위 하락 | 1 | GDP 대비 총 연구개발투자비 비중 | 1 | 2 | ↓ 1 |
2 | 기업 총 연구개발 인력 | 5 | 6 | ↓ 1 | |
3 | 과학기술분야 학사학위비율 | 16 | 17 | ↓ 1 | |
4 | 노벨상 수상 | 28 | 29 | ↓ 1 | |
5 | 인구 백만 명당 노벨상 수상 | 28 | 29 | ↓ 1 | |
6 | 기업의 혁신역량 | 33 | 34 | ↓ 1 | |
7 | 지적 재산권의 보호정도 | 38 | 44 | ↓ 6 |
○ (기술인프라) 21개 지표 중 전년 대비 5개 지표는 순위 상승, 12개 지표는 하락, 3개 지표는 동일, 1개 지표 신설 (1개 지표 삭제)
< 한국의 기술인프라 순위 변동 지표 현황 >
구분 | 연번 | 과학경쟁력 세부지표 | 2016 | 2017 | 변동 |
순위 상승 | 1 | GDP 대비 통신 분야 자본적 투자 규모 비중 | 52 | 24 | ↑28 |
2 | 공공 및 민간부문의 벤처가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정도 | 36 | 29 | ↑ 7 | |
3 | 법적환경이 기술개발 및 응용을 지원하는 정도 | 51 | 47 | ↑ 4 | |
4 | 서비스 수출액 중 ICT 서비스의 비중 | 39 | 35 | ↑ 4 | |
5 | 수준급 엔지니어 공급정도 | 34 | 32 | ↑ 2 | |
순위 하락 | 1 | 모바일 브로드밴드 가입자 비중 | 4 | 12 | ↓ 8 |
2 | 1인당 월평균 이동전화 요금 | 50 | 54 | ↓ 4 | |
3 | 기업의 요구에 대한 통신기술의 충족 | 12 | 16 | ↓ 4 | |
4 | 사이버보안이 기업에서 적절히 다루어지는 정도 | 45 | 49 | ↓ 4 | |
5 | 사람과 기업 간 통신 등을 이용해 접속가능한 정도 | 13 | 16 | ↓ 3 | |
6 | 기업 간 기술협력정도 | 42 | 45 | ↓ 3 | |
7 | 인구 천명당 브로드밴드 가입자 수 | 20 | 22 | ↓ 2 | |
8 | 기술개발자금의 충분성 | 44 | 46 | ↓ 2 | |
9 | 인구 천명 당 인터넷 사용자수 | 16 | 17 | ↓ 1 | |
10 | 기술규제의 기업발전 및 혁신 지원 정도 | 43 | 44 | ↓ 1 | |
11 | 첨단기술제품의 수출액 | 5 | 6 | ↓ 1 | |
12 | 제조업 수출액 중 첨단기술제품 비중 | 6 | 7 | ↓ 1 | |
신설 | 1 | 디지털 기술의 사용 용이성 | - | 22 | |
삭제 | 1 | 정보기술의 사용 용이성 | 33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