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관련 통계 정보

통계

통계

「IMD 국가경쟁력 연감(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 2017」 의 주요내용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17-06-23
  • 등록일 2017-06-26
  • 권호 97
첨부파일

 

  

「IMD 국가경쟁력 연감(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 2017」


 ※ ‘89년부터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 :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에서 60여개 국가를 대상으로 

      매년 발표

 
 ※ 복합적 개념(경제·非경제적 요소 모두 포함)의 국가경쟁력을 평가하며 4대 분야 ① 경제운용 성과, ② 정부행정 효율 ③ 기업

     경영 효율, ④ 인프라 구축으로 구분하여 각국의 경쟁력을 평가

 

  

‘17년 63개국 중 한국 국가경쟁력 순위는 전년도과 동일한 29위를 차지


  ※ 홍콩이 2년 연속 1위를 차지하고, 스위스(2위), 싱가포르(3위), 미국(4위)순임


○ 우리나라는 경제운용성과, 정부효율성은 각각 1,2위가 떨어진 반면 과학인프라 및 기술인프라 순위는 ‘12년 이래 최하위를 기록 

 

  ※ 4대 평가부문 중 인프라 구축의 하위분야인 과학기술 경쟁력을 중심으로 분석


 - 과학인프라는 8위(전년 동일), 기술인프라(2단계 하락)는 17위를 차지

 

 < 2012-2017년 우리나라 국가경쟁력 및 4대 분야별 순위 >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평가대상국

 59개국

 60개국

60개국

 61개국

 61개국

 63개국

  국가경쟁력

 22

 22

 26

 25

 29

 29(-)

   ■ 경제운용성과

 27

 20

 20

 15

 21

 22(↓1)

   ■ 정부효율성

 25

 20

 26

 28

 26

 28(↓2)

   ■ 기업효율성

 25

 34

 39

 37

 48

 44(↑4)

  ■ 인프라구축

 20 

 19

 19

 21

 22

 24(↓2)

    - 과학인프라

 5

8

  8(-)

    - 기술인프라

 14

 11

 8

  13

 15

 17(↓2)

  디지털트렌드*

 -

 -

 -

(17)

 19(↓2)


  ※ 디지털 트렌드는 ‘17년 신규지표로, ‘13년 이후에는 과거데이터를 분석하여 반영 

 

○ (과학인프라) 25개 지표 중 전년 대비 6개 지표는 순위 상승, 7개 지표는 하락, 12개 지표는 동일

 

< 한국의 과학인프라 순위 상승 지표 현황 >

구분

 연번

 과학경쟁력 세부지표

 2016

 2017

 변동

 순위

 상승

 1

  과학연구 수준이 국제적 기준보다 높은 정도

 34

 27

 ↑ 7

 2

  산학간의 지식 전달정도

 34

 32

 ↑ 2

 3

  총 연구개발투자

 6

 5

 ↑ 1

 4

  국민 1인당 연구개발투자

 14

 13

 ↑ 1

 5

  총 연구개발 인력

6

 5

 ↑ 1

 6

  연구자/과학자가 국가에 매력을 느끼는 정도

 34

 33

  ↑ 1 

 

 

< 한국의 과학인프라 순위 하락 지표 현황 >

구분

 연번

 과학경쟁력 세부지표

 2016

 2017

 변동

순위

하락

 1

   GDP 대비 총 연구개발투자비 비중

 1

2

↓ 1

 2

   기업 총 연구개발 인력

 5

↓ 1

 3

   과학기술분야 학사학위비율

16

17

↓ 1

 4

   노벨상 수상

 28

29

↓ 1

 5

   인구 백만 명당 노벨상 수상

28

29

↓ 1

 6

   기업의 혁신역량

 33

34

↓ 1

 7

   지적 재산권의 보호정도

 38

44 

↓ 6


 

○ (기술인프라) 21개 지표 중 전년 대비 5개 지표는 순위 상승, 12개 지표는 하락, 3개 지표는 동일, 1개 지표 신설 (1개 지표 삭제)

 

 

< 한국의 기술인프라 순위 변동 지표 현황 >

구분

연번

과학경쟁력 세부지표

2016

2017

변동

순위

상승

1

GDP 대비 통신 분야 자본적 투자 규모 비중

52

24

  ↑28

2

공공 및 민간부문의 벤처가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정도

36

29

  ↑ 7

3

법적환경이 기술개발 및 응용을 지원하는 정도

      51

      47

  ↑ 4

4

서비스 수출액 중 ICT 서비스의 비중

39

35

  ↑ 4

5

수준급 엔지니어 공급정도

34

32

  ↑ 2

순위

하락

1

모바일 브로드밴드 가입자 비중

4

12

  ↓ 8

2

1인당 월평균 이동전화 요금

      50

      54

  ↓ 4

3

기업의 요구에 대한 통신기술의 충족

      12

      16

  ↓ 4

4

사이버보안이 기업에서 적절히 다루어지는 정도

      45

      49

  ↓ 4

5

사람과 기업 간 통신 등을 이용해 접속가능한 정도

      13

      16

  ↓ 3

6

기업 간 기술협력정도

      42

      45

  ↓ 3

7

인구 천명당 브로드밴드 가입자 수

      20

      22

  ↓ 2

8

기술개발자금의 충분성

      44

      46

  ↓ 2

9

인구 천명 당 인터넷 사용자수

      16

      17

  ↓ 1

10

기술규제의 기업발전 및 혁신 지원 정도

      43

      44

  ↓ 1

11

첨단기술제품의 수출액

      5

      6

  ↓ 1

12

제조업 수출액 중 첨단기술제품 비중

      6

      7

  ↓ 1

신설

1

디지털 기술의 사용 용이성

      -

      22

 

삭제

1

정보기술의 사용 용이성

     33

       -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