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
통계
「국가혁신지수 보고서 (2016-2017년)」의 주요내용
- 국가 미국 , 유럽연합(EU) , 일본 , 중국 , 한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7-09-08
- 등록일 2017-09-11
- 권호 102
「국가혁신지수 보고서 (2016-2017년) 」의 주요내용
※ 중국과학기술발전전략연구원은 매년 세계 국가혁신지수 종합순위와 중국의 혁신 자원, 지식 창조, 기업 혁신, 혁신 성과,혁신 환경에 대한 평가 결과를 발표
□ 중국 국가혁신지수 종합순위는 전년대비 1단계 상승한 17위로, 상위 20위에 진입한 유일한 개발도상국임
※ 한국은 전년과 동일하게 4위 유지
< 국가별 혁신지수 및 순위 >
순위 | 국가 | 혁신지수 | 순위 | 국가 | 혁신지수 |
1 | 미국 | 100 | 11 | 핀란드 | 72.1 |
2 | 일본 | 94.4 | 12 | 프랑스 | 71.9 |
3 | 스위스 | 88.3 | 13 | 이스라엘 | 71.2 |
4 | 한국 | 87.5 | 14 | 오스트리아 | 70.7 |
5 | 덴마크 | 75.2 | 15 | 노르웨이 | 70.1 |
6 | 스웨덴 | 74.6 | 16 | 아일랜드 | 70.0 |
7 | 독일 | 74.1 | 17 | 중국 | 69.8 |
8 | 네덜란드 | 73.3 | 18 | 벨기에 | 69.8 |
9 | 싱가포르 | 72.5 | 19 | 호주 | 67.5 |
10 | 영국 | 72.4 | 20 | 룩셈부르크 | 63.6 |
○ 중국 혁신평가 지표 중 지식창조 및 기업혁신은 상승한 반면, 기업혁신, 혁신성과, 혁신환경 지표는 순위 하락
< 혁신자원 > | < 지식창조 > | < 기업혁신 > | < 혁신성과 > | < 혁신환경 > | |||||
|
|
|
|
| |||||
2013년 2014년 | 2013년 2014년 | 2013년 2014년 | 2013년 2014년 | 2013년 2014년 | |||||
·GDP 대비 R&D 투자 비중 17위(2.06%) 33위 | ·만 명당 연구자 발명 특허 등록량 3위 순위는 2위 | ·기업 R&D 연구자 비중 7위 | ·첨단기술산업 제조업 수출 비중 6위 부가가치 세계 비중 2위 | ·거시경제환경지수와 정부조달 기술혁신 영향지수 6위 벤처 자본 지원조달 난이도 9위 |
□ 중국은 혁신자원 투입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과기혁신능력을 꾸준히 제고
○ 중국의 R&D 투자 규모는 2,275.4억 달러로 세계 2위이며, 비중은 15.6% 임
< 주요국 R&D 투자 비중 >
| |
(가) 주요국 R&D 투자의 세계 비중 (2000년) | (나) 주요국 R&D 투자의 세계 비중 (2015년) |
□ 중국의 SCI 논문 수는 28.1만 편으로 전 세계의 14.4%를 차지하며 8년 연속 세계 2위를 기록
○ 중국 내 발명특허 등록량은 26.3만 건으로, 전 세계의 37.5%를 차지하며 최초로 일본을 초월하고 세계 1위를 기록
< 주요국의 SCI 논문 비중 >
< 주요국에서의 내국인 발명특허 출원량과 등록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