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관련 통계 정보

통계

통계

「혁신 지수 2017」의 주요내용

  • 국가 기타 , 독일 , 한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7-11-10
  • 등록일 2017-11-13
  • 권호 106
첨부파일


「혁신 지수 2017」의 주요내용

 

 ※ 독일 공학한림원은 프라운호퍼 시스템 및 혁신연구소, 만하임경제연구소와 공동으로 독일의 혁신 경쟁력을 35개 주요

     국가들과 비교하여 5대 영역별(기업, 교육, 과학, 정부, 사회) 지수 순위를 발표

□ 총 35개 국가 중 스위스가 혁신지수 1위를 차지하였고, 싱가포르, 벨기에, 독일 순임


○ 스위스는 산업 분야 1위, 교육 2위, 과학과 사회에서 각각 3위를 기록했으며, 정부의 혁신 정책도 국제 비교에서 높은 점수를 유지


한국은 전체 혁신지수는 13위를 기록하였고, 각 영역별로 보면 산업, 교육은 2위, 4위를 차지하였으나, 과학, 정부, 사회에서는

    각각 18위, 13위, 23위임


 - 과학 분야의 성과 창출 미흡, 국제협력 및 여성 근로자 부족 등이 문제로 언급

 

 < 2017년 혁신 지수 결과>

< 5대 영역별 순위 >

 

 

 

□ 디지털 혁신지수는 핀란드가 1위이며, 그 다음으로 스웨덴, 이스라엘, 영국, 호주 등이 상위권을 차지


○ 독일은 디지털 혁신지수에서 17위를 차지하며, 전체 혁신지수 순위보다 낮은 순위로 전체적으로 중간 수준의 혁신 경쟁력을 보임

 
 - 스칸디나비아 4국, 미국, 영국, 호주, 네덜란드 및 한국 등에 비해서도 낮은 순위로 브로드밴드 인터넷 보급률, 낮은 e-정부 보급

   수준 등의 원인에서 기인함

 

 

< 디지털 혁신지수 2017 결과 >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