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관련 통계 정보

통계

통계

「2017 일본 과학기술요람」의 주요내용

  • 국가 기타 , 미국 , 일본 , 중국 , 한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7-12-08
  • 등록일 2017-12-11
  • 권호 108
첨부파일


「2017 일본 과학기술요람」의 주요내용

 

 ※ 문부과학성은 과학기술 연구비, 연구 인력, 연구 성과 등을 수록한「2017 과학기술요람」발간

주요국의 연구 성과를 비교해 보면, 논문 수·피인용수 비율을 보면 미국이 25%, 36%인 반면 중국은 19%, 20%로

   격차가 꾸준히 줄어드는 추세임


○ 중국은 ‘81~‘85년 거의 0%에서 ‘12~‘16년 19%까지 상승하였고, 그 다음으로 영국, 독일, 일본, 프랑스가 논문 수 비율이 높음


○ 분야별로 보면 임상의학, 생물학, 물리학, 화학, 공학, 지구과학, 기타 순임

 

 < 주요국 논문 수 비율(미국 제외) >

 < 주요국 분야별 논문 수 비율 >

 

주) 모든 국가에서 인문, 사회과학 포함. 단, 한국은 ‘06년까지는 인문, 사회과학 불포함

 


주요국 특허 출원 건수는 중국이 뚜렷한 급증세를 보였으며 ‘16년 특허 출원 건수에서도 1위를 차지


< 주요국의 특허 출원 건수 추이 >

< 주요국의 특허 등록 건수 추이 > 

 

 

 

 

 

 

주요국 기술무역액 추이를 보면 미국이 1,308억 달러로 1위를 차지하였고, 독일 858억 달러, 영국 410억 달러, 일본

   369억 달러를 기록 

 

○ 기술무역 수지비를 보면 일본이 6.5%, 영국이 1.9%, 프랑스 1.6%, 미국 1.5%, 독일 1.3%를 기록

 

< 주요국 기술무역액 추이 >

< 주요국 기술무역 수지비 추이 >

 

 

 

 

 

주) 모든 국가에서 인문, 사회과학 포함. 단, 한국은 ‘06년까지는 인문, 사회과학 불포함


○ 하이테크산업 무역수지 추이에서는 한국, 중국, 프랑스가 상위권을 차지


 - 일본은 과거 주요국 중 가장 높은 무역수지를 보였으나 ‘86년 이후 하락


 - 일본의 기술무역 상대국으로는 중국 14.8%, 미국 14%, 독일 5.9%, 한국 5.5%, 프랑스 4.7%, 영국 4.0%를 차지 

 

< 일본 기술무역 국가별 구성비 >

 < 하이테크산업 무역수지  >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