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관련 통계 정보

통계

통계

「2018 생산의 미래 대비도 평가 보고서」의 주요내용

  • 국가 기타 , 독일 , 일본 , 한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8-02-09
  • 등록일 2018-02-12
  • 권호 112
첨부파일


「2018 생산의 미래 대비도* 평가 보고서」의 주요내용


 ※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은 100개 국가를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생산 방식의 변화 대비 정도를 총

     59개 지표를 종합하여 생산 구조와 생산 동인으로 구분하여 분석


 * 미래의 새로운 생산 기회를 자본화하고 이에 수반되는 리스크와 문제점을 줄여 미래 변화에 빠르게 회복할 수 있는 역량

생산 구조 부문에서는 일본, 한국, 독일이 높은 순위를 기록하였으며, 생산 동인 부문에서는 미국, 싱가포르, 스위스

   등이 상위권을 차지


 - 생산 구조 부문 1위인 일본은 큰 시장 규모와 탄탄한 기업 활동 등에서 긍정적으로 평가, 기술 혁신과 기관 프레임워크 또한

   상위 20위권을 차지


 - 생산 동인 부문 1위인 미국은 지속가능한 자원과 기관 프레임워크 요소를 제외한 모든 생산 동인 요소가 상위 5위권을 차지

 
< 2018 생산의 미래 대비도 부문별 상위 5개 국가 >

생산 구조 부문

생산 동인 부문

순위

국가

지수

순위

국가

지수

1

일본

8.99

1

미국

8.16

2

한국

8.85

2

싱가포르

7.96

3

독일

8.68

3

스위스

7.92

4

스위스

8.39

4

영국

7.84

5

중국

8.25

5

네덜란드

7.75

 


< ※ 참고 : 생산의 미래 대비도 지수 구성 구조 >



 
국가·경제 체제를 4그룹으로 분류한 결과, 유럽, 북미 등을 포함하여 25개 국가·경제 체제만이 변화하는 생산 환경에

   잘 대비가 된 선도 국가로 분류


○ 남미, 중동, 아프리카, 유라시아 국가 중 90%가 미성숙 국가로 분류되는 등 대비도에 있어 큰 격차를 보임

 

 

< 2018 생산의 미래 대비도 평가 결과 >

 


한국은 첨단 기술의 적용을 통한 생산 환경의 변화로 인해 혜택을 얻을 수 있는 25개 선도 국가 그룹에 포함


○ 생산 구조의 준비도에서 세계 2위에 오른 반면, 생산 동인 부문의 준비도에서는 21위에 그침


 - ‘16년 기준 한국의 제조업이 창출하는 부가가치는 총 3억 8,000만 달러로 세계에서 6번째 규모를 자랑


 - R&D 투자와 100만 명 당 특허 수에서 세계 5위권에 속하는 등 기술과 혁신 부문에 특히 강점을 가졌으나, 지속가능 자원

   부문에서는 다소 미흡

 
< 2018 생산의 미래 대비도 한국 평가 결과 >

대분류

중분류

지수 비중

순위

지수 (10점 만점)

생산 구조

복잡성

60%

4

9.0

규모

40%

2

8.7

생산 동인

기술 및 혁신

20%

17

6.6

인적 자본

20%

30

5.9

해외 무역 및 투자

20%

17

6.8

기관적 프레임워크

20%

25

6.9

지속가능 자원

5%

46

76.5

수요 환경

15%

13

6.4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