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관련 통계 정보

통계

통계

「주요 과학기술 지표 발표」의 주요내용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8-03-30
  • 등록일 2018-04-02
  • 권호 115
첨부파일


주요 과학기술 지표 발표의 주요내용

 ※  OECD는 국가별 최신 R&D 투자 동향을 반영한(‘17.2월 기준) 주요 과학기술 지표*를 발표

 

 *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 

□ ‘16년 R&D 집약도*는 이스라엘(4.25%)과 한국(4.24%)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으며, OECD 국가의 평균은

    2.4%로 전년 대비 동일한 수준을 유지

 

  * 국내총생산(GDP)에서 R&D 지출액이 차지하는 비중 

 

○ 지역별로 보면 유럽은 ‘15년 1.96%에서 다소 하락한 1.94%인 반면, 미국은 전년과 동일한 2.7%를, 중국은 2.12%를 기록

 

 

< OECD 회원국의 R&D 집약도 현황 (‘16년) >

 

 

□ 주요국별 R&D 집약도(‘00년~‘16년)를 살펴보면, 일본이 3.1%로 가장 크게 감소하였고, 캐나다도 꾸준히 하락하고

   있는 추세임

 

○ 반면, 중국의 R&D 집약도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20년에는 OECD 평균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 OECD 및 주요국 R&D 집약도 변화 추이 (‘00∼‘16년) >

 

 

□ ‘16년 OECD 회원국의 실질 R&D 지출 증가율은 1.2%로 나타났으며, 세부 R&D 주체별로 각기 다른 변화 추이를

   보임

 

○ ‘16년 전체 R&D 지출의 69%를 차지하고 있는 민간 기업의 R&D 지출 증가율은 전년의 2.2%에 비해 훨씬 낮은 0.9%를 기록 

 

○ 반면, 대학기관의 ‘16년 R&D 지출 증가율은 전년의 1.3%에 비해 크게 증가한 3.4%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정부의 R&D

    지출은 전년과 동일한 수준임

 

 

< OECD 회원국의 R&D 지출액, ‘07∼‘16년 >


 

□ OECD 국가 중 R&D 활동 관련 세금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국가는 ‘00년 16개국에서 ‘17년 30개국으로 빠르게 증가

 

○ ‘06년~‘15년 GDP 대비 기업 R&D에 제공된 정부 지원 비중은 37개 국가 중 25개 국가에서 증가하였으며, 특히 러시아, 벨기에,

    프랑스가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

 

 

< 기업 R&D 정부 지원 및 세금 인센티브 (‘15년) >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