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
통계
「국가 자동화 기술 지수 발표」의 주요내용
- 국가 독일 , 미국 , 영국 , 일본 , 중국 , 프랑스 , 한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5-25
- 등록일 2018-05-28
- 권호 119
「국가 자동화 기술 지수 발표」의 주요내용
※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은 OECD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25개 국가의 인공지능 및 자동화 기술에 대한 준비 정도를 혁신환경, 교육정책, 노동시장 정책 관련 52개 세부지표로 평가한 국가별 지수 발표
* The Automation Readiness Index : Who is ready for the coming wave of automation?
□ 국가 자동화기술 지수 분석결과, 한국이 1위(91.3점), 독일이 2위(89.3점)를 차지하였고, 싱가포르, 일본, 캐나다 순으로 자동화 기술을 선도
○ 선도 국가를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들은 아직 인공지능이나 로보틱스 기술을 응용한 자동화 기술 환경(평균 62.1점)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나타남
- 선진국과 저소득 개발도상국 간의 자동화 기술 격차가 크게 도출
< 국가별 자동화 기술 준비도 >
순위 | 국가 | 지수 | 순위 | 국가 | 지수 |
1위 | 한국 | 91.3 | 14위 | 말레이시아 | 57.7 |
2위 | 독일 | 89.3 | 15위 | 터키 | 53.7 |
3위 | 싱가포르 | 87.3 | 16위 | 러시아 | 52.5 |
4위 | 일본 | 82.6 | 17위 | 아르헨티나 | 51.7 |
5위 | 캐나다 | 81.8 | 18위 | 인도 | 47.2 |
6위 | 에스토니아 | 79.5 | 19위 | 브라질 | 46.4 |
7위 | 프랑스 | 78.9 | 20위 | 콜롬비아 | 44.7 |
8위 | 영국 | 73.1 | 21위 | 사우디아라비아 | 42.0 |
9위 | 미국 | 72.0 | 22위 | 남아프리카공화국 | 41.0 |
10위 | 호주 | 70.4 | 23위 | 멕시코 | 40.7 |
11위 | 이탈리아 | 67.5 | 24위 | 베트남 | 37.3 |
12위 | 중국 | 67.1 | 25위 | 인도네시아 | 33.1 |
13위 | UAE | 64.3 | 25개국 평균 | 62.1 |
○ 세부 부문별로 보면, 한국은 혁신환경 부문 2위, 교육정책 부문 1위, 노동시장 정책 부문 1위로 자동화 기술이 가장 잘 준비된 국가로 평가
< 자동화 기술 세부 부문별 국가 순위 >
혁신 환경 | 교육 정책 | 노동시장 정책 | ||||||
순위 | 국가 | 지수 | 순위 | 국가 | 지수 | 순위 | 국가 | 지수 |
1위 | 일본 | 94.6 | 1위 | 한국 | 87.5 | 1위 | 독일 | 93.8 |
2위 | 한국 | 93.9 | 2위 | 에스토니아 | 86.1 | 1위 | 싱가포르 | 93.8 |
3위 | 독일 | 93.8 | 3위 | 싱가포르 | 84.7 | 1위 | 한국 | 93.8 |
4위 | 프랑스 | 91.3 | 4위 | 독일 | 83.3 | 4위 | 일본 | 87.5 |
5위 | 싱가포르 | 86.5 | 5위 | 캐나다 | 79.2 | 5위 | 캐나다 | 84.4 |
25개국 평균 | 69.9 | 25개국 평균 | 55.3 | 25개국 평균 | 60.4 |
1) 혁신 환경
- 각국의 정부는 자동화 기술의 개발 및 적용을 촉진하기 위한 혁신 환경 조성을 위해 교육 및 과학자 이민 정책 마련과 R&D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음
※ 한국은 과기정통부가 인공지능 관련 R&D 예산으로 1,600억 책정, 일본은 3개의 국립 R&D센터 운영, 영국은 산업전략챌린지펀드 조성
< 국가별 GDP 대비 R&D 지출(%, ’16년) >
2) 교육 정책
- 산업 적용을 위해 자동화 기술 수요에 맞춘 교과 과정의 개선, 교사의 재훈련, 평가 과정 개선 등의 노력이 요구됨
- 기술이 빠른 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대학 졸업 후의 재교육 및 재훈련 등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어 이에 대한 방안* 마련 필요
* 예 : 싱가포르의 교육비 지원 정책 ‘SkillFuture Initiative’
3) 노동시장 정책
- 현재 산업용 로봇이 생산 과정에 활용되고 있어 장기적으로 자동화 및 인공지능 기술이 노동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
< ’16년 산업용 로봇 시장 연간 판매량 추정치 (단위 : 천 대) >
- 한국, 독일, 싱가포르 등의 국가는 근로자의 직업 전환을 위한 노동시장 유연화 정책, 재교육·재훈련 시 인센티브 제공, 직업훈련체계 개혁 등의 프로그램을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