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관련 통계 정보

통계

통계

「2018년도 생명과학분야 경쟁력 지표」의 주요내용

  • 국가 독일 , 미국 , 영국 , 일본 , 중국 , 한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6-08
  • 등록일 2018-06-11
  • 권호 120
첨부파일

 


「2018년도 생명과학분야 경쟁력 지표」의 주요내용
 ※ 영국 생명과학청은 생명과학 분야의 R&D 지출, 규제 환경, 임상연구 등의 성과를 국제 비교
 * Life Science Competitiveness Indicators

□ 영국 생명과학 분야는 연간 약 703억(약 101조 원) 파운드의 매출과 약 5,700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높은 생산성을 보임 

 

 - 생명과학 분야의 외국인 직접투자는 미국에 이은 2위 수준 (유럽 내 1위) 

 

 - 국제 임상연구 환자 비율이 약 3.1%로 임상연구의 요지 역할 수행

 

< 영국 생명과학분야 성과 현황 >

지 표

현재 가치

주요국 내 순위

정부 헬스분야 R&D 투자

$3.1bn (’15)

2(13)

제약 산업 R&D 투자

£4.1bn (’16)

-

국제 임상연구 환자 비율 (모든 실험 단계)

3.1% (’16)

4(10)

생명과학 분야 인용 비중

12% (’14)

2(19)

생명과학 분야 상위 1% 이내 인용 비중

18% (’14)

2(19)

기초 의약제품 제조 분야 고용 수

40,500 (’16)

6(12)

의료기술상품 제조 분야 고용 수

40,300 (’16)

4(12)

약품 제조 총 부가가치

$9.2bn (’15)

6(11)

세계 의약품 수출

$33.3bn (’16)

5(18)

세계 의료기술상품 수출

$3.8bn (’16)

12(18)

세계 의약품 수입

$33.4bn (’16)

4(18)

세계 의료기술상품 수입

$5.1bn (’16)

8(18)

생명과학 분야 외국인 직접투자 프로젝트

60(’17)

2(15)

생명과학 분야 외국인 직접투자 (설비 투자)

£750m (’17)

4(15)

자연과학, 수학, 통계학 전공 졸업생 비중

13% (’15)

1(14)

 

 

○ ’15년 기준, 영국의 헬스분야 R&D 투자액은 30억 달러로, 미국 다음으로 2위를 차지하였고, 미국을 제외한 경쟁국가보다 2배 정도 더 높은 수준임

 

< 국가별 헬스분야 R&D 투자 >

 

○ 의약품 수출 현황은 독일, 스위스, 미국, 벨기에, 영국 순으로 상위를 차지하였고, 한국, 캐나다, 인도, 스위스, 네덜란드 국가는 ’12~’16년간 약 20%의 수출을 달성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추세임

 

< 국가별 의약품 수출 >


 

○ 영국의 의약품 수입 현황은 334억 달러로 세계에서 4위를 차지하였고, 미국은 ’07~’16년 간 400억 달러 이상 증가하였으며, 중국과 일본은 ’16년 각각 180억 달러, 160억 달러씩 증가함

 

< 국가별 의약품 수입 >


 

○ 생명과학 분야 기업공개(IPO) 비중은 중국(37%), 미국(24%), 스웨덴(13%), 호주(6%), 대한민국(4%) 순으로 나타났고, 영국은 1%로 매우 낮은 수준임

 

< ’17년도 국가별 생명과학 분야 IPO >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