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
통계
「2018 글로벌 혁신 지수 보고서」 주요내용
- 국가 네덜란드 , 덴마크 , 독일 , 미국 , 스위스 , 싱가폴 , 영국 , 이스라엘 , 일본 , 중국 , 한국 , 홍콩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8-08-03
- 등록일 2018-08-06
- 권호 124
「2018 글로벌 혁신 지수 보고서」주요내용
※ WIPO, 코넬대학교, INSEAD는 2018년 80개 지표를 바탕으로 126개 경제 체제의 혁신 수준을 평가
* Global Innovation Index 2018 : Energizing World with Innovation
□ ’18년도 현재 가장 혁신적인 국가는 전년에 이어 스위스로 나타났으며, 네덜란드, 스웨덴, 영국, 싱가포르 순으로 혁신적인 것으로 평가
※ 글로벌 혁신 지수는 혁신 투입(제도, 인적 자본 및 연구, 사회기반시설, 시장 성숙도, 기업 성숙도) 및 혁신 산출(지식 및 기술 성과, 창조적 성과) 부지수(sub-index)로 구성
- 스위스는 세계 최고 수준의 특허 및 지적재산권 성과, 첨단 제조생산, R&D 투자 및 대학 역량을 바탕으로 8년 연속 1위를 차지
- 미국은 전년대비 두 단계 낮은 6위를 차지하였으나, R&D 투자, 연구자 수, 특허 등 다양한 부문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가
< 글로벌 혁신 지수 상위 30개 국가 >
순위 | 국가명 | 글로벌 혁신 지수 | 혁신 투입 부지수 | 혁신 산출 부지수 | ||
순위 | 지수 | 순위 | 지수 | |||
1 | 스위스 | 68.40 | 2 | 69.67 | 1 | 67.13 |
2 | 네덜란드 | 63.32 | 9 | 66.45 | 2 | 60.19 |
3 | 스웨덴 | 63.08 | 3 | 69.21 | 3 | 56.94 |
4 | 영국 | 60.13 | 4 | 67.89 | 4 | 52.37 |
5 | 싱가포르 | 59.83 | 1 | 74.23 | 22 | 45.43 |
6 | 미국 | 59.81 | 6 | 67.81 | 6 | 51.81 |
7 | 핀란드 | 59.63 | 5 | 67.88 | 8 | 51.38 |
8 | 덴마크 | 58.39 | 7 | 67.43 | 13 | 49.34 |
9 | 독일 | 58.03 | 17 | 63.27 | 5 | 52.79 |
10 | 아일랜드 | 57.19 | 18 | 63.14 | 12 | 51.25 |
11 | 이스라엘 | 56.79 | 19 | 62.76 | 10 | 50.83 |
12 | 한국 | 56.63 | 14 | 63.42 | 11 | 49.84 |
13 | 일본 | 54.95 | 12 | 65.41 | 18 | 44.49 |
14 | 홍콩 | 54.62 | 8 | 66.71 | 24 | 42.53 |
15 | 룩셈부르크 | 54.53 | 25 | 56.19 | 7 | 52.87 |
- 중국은 혁신 역량 강화와 경제 구조 개편을 통해 전년 22위에서 17위로 순위가 크게 상승하며 올해 처음으로 글로벌 혁신 지수 20위 내로 진입
○ 한국은 56.6점을 기록해 전년대비 한 단계 낮은 12위를 기록했으며, 동아시아 지역에서 싱가포르(5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순위를 기록
- 인적 자본 및 연구 부문 2위, 지식 및 기술성과 부문 9위를 기록하여 좋은 평가를 받았으나, 제도(26위)와 기업 성숙도(20위) 부문에서 낮게 평가
< 한국의 2018 글로벌 혁신 지수 세부 지표 >
세부 항목 | 지수 | 순위 | 세부 항목 | 지수 | 순위 |
제도 | 78.5 | 26 | 기업 성숙도 | 50.2 | 20 |
인적자본 및 연구 | 65.3 | 2 | 지식 및 기술성과 | 53.3 | 9 |
사회기반시설 | 62.7 | 13 | 창의적 성과 | 46.4 | 17 |
시장 성숙도 | 60.4 | 14 | - | - | - |
○ 세계 주요 과학기술 클러스터 분석결과, 일본의 도쿄-요코하마가 1위, 중국·홍콩의 선전-홍콩이 2위, 한국의 서울이 3위를 차지
※ 지난해부터 지역별 과학적 출판 성과와 특허 출원 수를 바탕으로 대도시 권역의 과학 기술 성과를 측정해 세계 100대 과학 기술 클러스터를 선정
< 세계 20대 과학 기술 클러스터 >
순위 | 클러스터 | 국가/경제체제 | 특허비중(%) | 출판비중(%) | 합계 |
1 | 도쿄-요코하마 | 일본 | 11.00 | 1.77 | 12.77 |
2 | 선전-홍콩 | 중국/홍콩 | 5.05 | 0.51 | 5.56 |
3 | 서울 | 한국 | 3.90 | 1.63 | 5.53 |
4 | 산호세-샌프란시스코 | 미국 | 3.86 | 1.13 | 4.98 |
5 | 베이징 | 중국 | 1.90 | 2.46 | 4.36 |
6 | 오사카-고베-교토 | 일본 | 2.84 | 0.85 | 3.69 |
7 | 보스턴-캠브리지 | 미국 | 1.43 | 1.49 | 2.92 |
8 | 뉴욕 | 미국 | 1.26 | 1.61 | 2.88 |
9 | 파리 | 프랑스 | 1.40 | 1.17 | 2.57 |
10 | 샌디에고 | 미국 | 1.91 | 0.43 | 2.34 |
- 작년의 경우 특허 출원 수만을 기준으로 한 반면, 올해는 지역별 과학 논문 게재 수도 클러스터의 성과를 측정하는 척도로 활용
- 국가별로 살펴볼 경우 미국이 가장 많은 26개 클러스터를 보유하였으며, 중국(16개), 독일(8개), 영국(4개), 캐나다(4개) 등의 순으로 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