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관련 통계 정보

통계

통계

「일본 기업의 연구개발활동조사」 주요내용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8-08-24
  • 등록일 2018-08-27
  • 권호 125
첨부파일

 

「일본 기업의 연구개발활동조사」주요내용
 ※ 일본 경제산업성 및 미쓰비시 UFJ 리서치&컨설팅은 ’17년 산업기술조사사업의 일환으로 일본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현황을 조사
   * OECD 회원국 중 주요 8개국(미국,영국,독일,프랑스,중국,일본,한국,대만)을 대상으로 분석

□ 일본의 GDP 대비 R&D지출 비중은 한국에 이어 세계 2위인 것으로 조사 

 

○ 연구주체별 R&D 지출 분석결과, 기업의 R&D 지출 비중은 미국, 유럽에 비해 높은 반면, 대학의 R&D 지출 비중은 낮은 것으로 분석

 

 

 

○ 일본 기업의 R&D투자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인 소프트웨어·컴퓨터 산업 투자는 적으나, 타 국가 대비 분야별로 고르게 분포

 

 

 

○ 기업의 약 56%가 기초연구를 실시하고 있으며, 다수 기업이 10년 이상 기초연구를 수행 

 

 - 기초연구, 응용연구, 개발단계로 발전해 나감에 따라 기업의 연구기간이 점차 단축되는 경향을 나타냄 

 

 - 향후 가장 중요시할 연구개발 단계로 기업의 약 63.3%가 응용연구를 제시

 

 

 
○ 연구개발인력의 확보는 채용을 통한 영입이 가장 많았으며, 외부 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인력 확보도 상당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남 

 

 - 이상적인 인재상으로 필요 기술 및 역량보다 높은 전문성을 지니면서 타 기관과 협력하여 일할 수 있는 마인드를 가진 인재를 요구

 

 

 

○ 일본 기업의 신 시장을 창출하는 중장기적 연구개발 활동 노력이 미흡하여 대학 등이 보유한 기술을 실용화하는 대형 프로젝트 육성이 바람직 

 

 - 새로운 연구주제 설정은 분야의 특성을 고려하여 백캐스팅(목표연산방식)* 적용 

 

  * (적합) 환경, 에너지 분야 등; (부적합) AI 등 첨단 디지털 기술 분야 등 

 

 - 또한 혁신적인 R&D 프로젝트를 설계하기 위해 인재확보, 프로젝트 실시 지원체계, 대학 경영 등에 대한 기반환경 정비 필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