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
통계
「중국 반도체산업 전략보고서」 주요내용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10-12
- 등록일 2018-10-16
- 권호 128
「중국 반도체산업 전략보고서」주요내용
※ 중국 전망산업원구원은 ’98년 북경 칭화원에 설립되어, 기업·정부·과학기술연구소 등을 대상으로 전문적 산업분야의 분석을 제공하는 민간 컨설팅 자문기관으로 주로 에너지환경, 자동차, 기계, 금융, 화학, IT, 소비재 시장 등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 대한 연구 및 데이터를 분석
□ ’17년 중국 반도체 산업 규모는 매출액 기준 5,355억 위안이며,’18년 6,482억 위안을 달성하고 ’22년에 1조 2,925억 위안 규모로 증가할 전망
< 중국 반도체산업 매출액 통계상황 및 예측 >
○ ’17년 중국의 반도체 수요는 전 세계의 30%를 차지하였으며, 집적회로 판매액은 5,411억 위안에 이르러 세계 최대 시장으로 부상
- ’16년 집적회로 산업 매출액은 4,336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21% 증가했고, 향후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20%에 달해 ’22년에는 13,500억 위안 예측
< 중국 집적회로 산업 매출액 통계상황 및 예측 >
○ 중국의 반도체 업종 기반이 취약하고, 특히 자금 및 기술장벽으로 중국 반도체 제조분야 기업은 미국, 대만, 일본, 한국 등과 2~3세대의 격차가 존재
- 세계 IC 산업사슬 분포를 보면 반도체 설계, 웨이퍼 제조, 패키지 테스트 등 3대 분야 비중이 27%, 51%, 22%이며, 중국은 각각 38%, 27%, 35%로 제조가 취약
- 중국은 반도체 핵심부품의 대규모 자급이 불가능하여, 반도체제품 수출입액은 장기 적자를 기록하고, 해외 제조업체로부터 핵심설비 도입이 제한적임
< 중국 반도체제품의 수출입액 상황 >
○ 반도체 설비 국산화율은 보편적으로 20% 이하로, 외국 기업에 의해 독점
- ’16년 미국 기업의 중국 반도체 시장 점유율이 51%에 달하고, 반도체 설비의 중국 내 공급률이 20%에 미달
○ 2018년 반도체 산업은 자동차전자, 인공지능, 메모리 및 5G 네트워크 등 다양한 분야에 중점을 둘 전망
- 반도체 시장발전은 자동차 전자, AR 분야에서의 성장에 도움이 될 것이며, 5G 네트워크, IoT의 반도체 산업 황금기 도래
- 인공지능 기술 및 IoT간 융합을 통해 AIoT로 진화시켜 자동차 전자와 스마트 기기를 구동함에 따라 고효율 AI칩 시장 수요가 급증
- 신흥시장과 기술은 신제품 출연 및 기존 제품의 업그레이드를 촉진시켜 전체 반도체 산업 매출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