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
통계
「2018 미국 주별 과학기술지수」 주요내용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9-01-25
- 등록일 2019-01-25
- 권호 135
「2018 미국 주별 과학기술지수」 주요내용
* Milken Institute's 2018 State Technology and Science Index
※ 밀켄연구소는 기업 성장 및 고숙련 일자리 창출, 경제 성장에 기여하는 과학기술 역량과 상업화 생태계의 현황을 주 정부별로 평가한 2018 주별 과학기술지수 발표
□ ’18년 조사결과, 미국 50개 주 중 매사추세츠(86.25점)가 가장 높은 과학기술 경쟁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
- 그 뒤로 콜로라도(80.08점), 메릴랜드(79.24점), 캘리포니아(78.08점), 유타(75.27점) 순임
※ 과학기술지수는 R&D 투입, 리스크 자본 및 창업 기반, 인적자본 투자, 과학기술인력, 기술 집중 및 역동성의 5개 부문 107개 세부지표로 산출
< 2018 주 기술 과학 지수 순위 >
주 | 2018 순위 | 2016 순위 | 순위 변화 | 지수 | 주 | 2018 순위 | 2016 순위 | 순위 변화 | 지수 |
매사추세츠 | 1 | 1 | 0 | 86.25 | 아이다호 | 26 | 32 | 6 | 50.99 |
콜로라도 | 2 | 2 | 0 | 80.08 | 오하이오 | 27 | 27 | 0 | 50.88 |
메릴랜드 | 3 | 3 | 0 | 79.24 | 몬타나 | 28 | 34 | 6 | 49.22 |
캘리포니아 | 4 | 4 | 0 | 78.08 | 인디애나 | 29 | 30 | 1 | 46.10 |
유타 | 5 | 8 | 3 | 75.27 | 미주리 | 30 | 28 | -2 | 46.03 |
워싱턴 | 6 | 5 | -1 | 74.60 | 캔자스 | 31 | 31 | 0 | 45.29 |
델라웨어 | 7 | 10 | 3 | 66.13 | 앨라배마 | 32 | 37 | 5 | 43.40 |
미네소타 | 8 | 7 | -1 | 63.11 | 플로리다 | 33 | 41 | 8 | 42.39 |
뉴햄프셔 | 9 | 11 | 2 | 62.34 | 네브래스카 | 34 | 25 | -9 | 40.84 |
오리건 | 10 | 13 | 3 | 61.76 | 하와이 | 35 | 39 | 4 | 39.21 |
노스캐롤라이나 | 11 | 12 | 1 | 61.24 | 아이오와 | 36 | 35 | -1 | 38.82 |
버지니아 | 12 | 9 | -3 | 60.28 | 사우스캐롤라이나 | 37 | 43 | 6 | 38.00 |
펜실베이니아 | 13 | 14 | 1 | 59.58 | 노스다코다 | 38 | 29 | -9 | 36.37 |
코네티컷 | 14 | 6 | -8 | 59.50 | 테네시 | 39 | 40 | 1 | 36.23 |
일리노이 | 15 | 16 | 1 | 58.35 | 메인 | 40 | 42 | 2 | 35.77 |
뉴욕 | 16 | 20 | 4 | 57.52 | 알래스카 | 41 | 33 | -8 | 35.70 |
애리조나 | 17 | 23 | 6 | 56.73 | 와이오밍 | 42 | 36 | -6 | 35.13 |
미시간 | 18 | 18 | 0 | 56.37 | 사우스다코다 | 43 | 38 | -5 | 31.86 |
로드아일랜드 | 19 | 15 | -4 | 56.34 | 네바다 | 44 | 45 | 1 | 30.45 |
텍사스 | 20 | 19 | -1 | 55.60 | 루이지애나 | 45 | 46 | 1 | 25.53 |
뉴저지 | 21 | 17 | -4 | 55.12 | 켄터키 | 46 | 47 | 1 | 25.48 |
조지아 | 22 | 24 | 2 | 53.25 | 오클라호마 | 47 | 44 | -3 | 25.01 |
버몬트 | 23 | 26 | 3 | 53.24 | 아칸소 | 48 | 49 | 1 | 23.32 |
뉴멕시코 | 24 | 21 | -3 | 52.06 | 웨스트버지니아 | 49 | 50 | 1 | 19.96 |
위스콘신 | 25 | 22 | -3 | 51.96 | 미시시피 | 50 | 48 | -2 | 19.78 |
< (참고) 2018 주 과학기술지수 세부 지표 현황 >
① (R&D 투입) 기업, 대학, 연방 R&D기관 등 R&D 예산을 유치하고 혁신을 창출하는 혁신기관을 통해 지역 R&D 역량을 평가
세부 지표 | 세부 지표 |
・1인당 연방 R&D 예산 ・1인당 기업 R&D 예산 ・1인당 대학 R&D 예산 ・주 내 총생산 대비 국립과학재단 예산 ・주 내 총생산 대비 국립과학재단 연구 예산 ・1인당 공학 R&D 지출 ・1인당 물리학 R&D 지출 ・1인당 환경과학 R&D 지출 ・1인당 수학 및 컴퓨터공학 R&D 지출 ・1인당 생명공학 R&D 지출 | ・1인당 농업공학 R&D 지출 ・1인당 바이오의학 R&D 지출 ・기업 1만개 당 평균 중소기업기술이전(STTR) 선정 기업 수 ・100만 달러 당 중소기업기술이전(STTR) 예산액 ・기업 1만개 당 중소기업혁신연구(SBIR) 1단계 선정 기업 수 ・기업 1만개 당 중소기업혁신연구(SBIR) 2단계 선정 기업 수 ・국립과학재단 경쟁 부문 선정률 |
② (리스크 자본 및 창업 기반) 벤처 캐피탈 활동, 창업, 주식 상장 등 연구 성과를 성공적으로 기술 서비스 및 제품으로 상업화하는 역량을 평가
세부 지표 | 세부 지표 |
・전체 벤처 캐피탈 투자 성장 ・기업 1만개 당 벤처 투자 수 ・벤처 캐피탈 투자 성장 ・주 내 총생산 대비 벤처 캐피탈 비중 ・주 내 총생산 1천 달러 당 평균 중소기업투자기업(SBIC) 지원액 ・기업 1만개 당 기업 인큐베이터 ・10만 명 당 특허 수 ・10만 명 당 창업 수 | ・주 내 총생산 대비 평균 IPO 투자금 유치액 비중 ・주 내 총생산 1천 달러 당 나노기술 평균 벤처 자금 ・주 내 총생산 1천 달러 당 청정기술 평균 벤처 자금 ・주 내 총생산 1천 달러 당 바이오기술 평균 벤처 자금 |
③ (인적자본 투자) 지역 경제의 가장 중요한 무형 자본으로, 주 인구 대비 학사・석사・박사학위자 수, 과학・공학・기술부문 전공자 등 인적자본의 기술수준 평가
세부 지표 | 세부 지표 |
・인구 중 대졸 이상 비율 ・인구 중 석사 이상 비율 ・인구 중 박사 학위자 비율 ・1,000명 당 과학, 공학, 의료부문 대학원생 ・1인 당 주 장학금 예산 ・평균 읽기 및 쓰기 SAT 점수 ・평균 수학 SAT 점수 ・평균 ACT 점수 ・1인 당 고등 교육에 대한 예산 배분 ・고등 교육에 대한 예산 증가율 ・10만 명 당 과학 박사 소지자 | ・10만 명 당 공학 박사 소지자 ・10만 명 당 과학, 공학, 의료부문 박사 취득자 ・10만 명 당 과학, 공학, 의료부문 박사후과정 수행자 ・과학 공학 부문 전공 대학 학위자 비중 ・1,000명 당 최근 이공계 학사 졸업자 ・1,000명 당 최근 이공계 석사 졸업자 ・1,000명 당 최근 이공계 박사 졸업자 ・1,000명 당 최근 이공계 학위 수여자 ・컴퓨터 보유 가구 비중 ・인터넷 접속 가구 비중 |
④ (과학기술인력) 해당 지역의 기술 인재 보유 정도를 평가
세부 지표 | 세부 지표 |
・10만 근로자 당 컴퓨터 및 정보 과학자 ・10만 근로자 당 컴퓨터 시스템 분석가 ・10만 근로자 당 정보 보안 분석가 ・10만 근로자 당 컴퓨터 프로그래머 ・10만 근로자 당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개발자 ・10만 근로자 당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10만 근로자 당 웹 개발자 ・10만 근로자 당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10만 근로자 당 네트워크 및 컴퓨터 시스템 관리자 ・10만 근로자 당 컴퓨터 네트워크 아키텍트 ・10만 근로자 당 사용자 지원 전문가 ・10만 근로자 당 네트워크 지원 전문가 ・10만 근로자 당 기타 컴퓨터 업무 ・10만 근로자 당 운영 연구 분석가 ・10만 근로자 당 통계학자 ・10만 근로자 당 항공우주 공학자 ・10만 근로자 당 바이오의료 공학자 ・10만 근로자 당 화학 공학자 ・10만 근로자 당 토목 공학자 ・10만 근로자 당 컴퓨터 하드웨어 공학자 ・10만 근로자 당 전기 공학자 ・10만 근로자 당 환경 공학자 ・10만 근로자 당 산업 공학자 | ・10만 근로자 당 소재 공학자 ・10만 근로자 당 기계 공학자 ・10만 근로자 당 광물 및 지질 공학자 ・10만 근로자 당 원자력 공학자 ・10만 근로자 당 석유 공학자 ・10만 근로자 당 기타 공학자 ・10만 근로자 당 토양 과학자 ・10만 근로자 당 바이오 화학 물리학자 ・10만 근로자 당 미생물학자 ・10만 근로자 당 동물학자 ・10만 근로자 당 생물학자 ・10만 근로자 당 역학자 ・10만 근로자 당 의료 과학자 ・10만 근로자 당 생명공학자 ・10만 근로자 당 물리학자 ・10만 근로자 당 대기우주 과학자 ・10만 근로자 당 화학자 ・10만 근로자 당 소재학자 ・10만 근로자 당 환경 과학자 ・10만 근로자 당 지구과학 과학자 ・10만 근로자 당 기타 물리학자 ・10만 근로자 당 농업 식품공학자 ・10만 근로자 당 생명 기술자 ・10만 근로자 당 화학 기술자 ・10만 근로자 당 원자력 기술자 |
⑤ (기술 집중 및 역동성) 지역의 기술 성장을 측정해 지역 내 자산을 경제적 성과로 변환시키는 역량을 평가
세부 지표 | 세부 지표 |
・첨단기술 고용자 비중 ・첨단기술 연봉 비중 ・첨단기술 기업 수 비중 ・기업 1만 개 당 고속 기술성장 500대 기업 수 | ・기업 1만 개 당 첨단기술 기업 창업 수 ・첨단기술 평균 연간 고용 성장률 ・미국 평균 대비 고속 성장 산업 수 ・입지계수 1.0 이상 첨단 산업 수 ・기업 1만 개 당 500대 기업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