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관련 통계 정보

통계

통계

「2019 자율주행차 준비 지수」 주요내용

  • 국가 한국 , 미국 , 네덜란드 , 싱가폴 , 스웨덴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2-13
  • 등록일 2019-03-15
  • 권호 138
첨부파일

「2019 자율주행차 준비 지수」 주요내용
  * 2019 Autonomous Vehicles Readiness Index: Assessing countries’ preparedness for autonomous vehicles
 ※ 세계적인 회계 컨설팅 기업 KPMG는 전년도 조사대상에 체코, 헝가리, 핀란드, 이스라엘, 노르웨이 5개국을 추가하여 세계 25개국의 자율주행차 기술 준비 지수를 분석
 ※ 자율주행차 준비 지수는 (1)정책·제도, (2)기술·혁신, (3)사회기반시설, (4)소비자 수용성의 4대 부문 25개 지표로 구성

□ 평가결과 네덜란드(25.05점)가 주율주행에 가장 잘 준비되어 있는 국가로 평가되었으며, 그 뒤로 싱가포르(24.32점), 노르웨이(23.75점) 순으로 나타남


 - 한국은 기술·혁신, 사회기반시설 측면에서 상위권에 올랐으나 소비자 수용성, 정책·제도에서 최하위권으로 평가받아 전년대비 3단계 하락한 13위를 기록


 - 기술·혁신, 사회기반시설 부문의 선도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정책·제도적 투명성이 부족한 경우가 자주 나타나 신규 제도의 도입 및 기존 규제 개혁이 요구됨


< 2019 자율주행차 준비 지수 >

순위

국가

2019 점수

순위

국가

2019 점수

2019

2018

2019

2018

1

1

네덜란드

25.05

14

-

이스라엘

19.60

2

2

싱가포르

24.32

15

14

호주

19.01

3

-

노르웨이

23.75

16

12

오스트리아

18.85

4

3

미국

22.58

17

13

프랑스

18.46

5

4

스웨덴

22.48

18

15

스페인

15.50

6

-

핀란드

22.28

19

-

체코

14.46

7

5

영국

21.58

20

16

중국

14.41

8

6

독일

21.15

21

-

헝가리

11.99

9

8

UAE

20.69

22

18

러시아

8.55

10

11

일본

20.53

23

19

멕시코

7.73

11

9

뉴질랜드

19.87

24

20

인도

6.87

12

7

캐나다

19.80

25

17

브라질

6.41

13

10

한국

19.79

 

 

 

 


1) 네덜란드


 - 사회기반시설(1위), 소비자 수용성(2위) 및 정책·제도(5위)에서 특히 높은 평가를 받은 반면, 기술·혁신(10위) 부문에서 개선의 여지가 나타남


 - 자율주행차를 위한 법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자율주행차 운전면허를 준비 중이며, 자동차 안전· 보안 프레임워크를 통해 자동차 소프트웨어를 평가할 계획


2) 싱가포르


 - 정책·제도(1위), 사회기반시설(2위) 및 소비자 수용성(1위) 부문에서의 우수한 평가에 비해 기술·혁신(15위) 부문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순위를 기록


 - ’17.11월 난양기술대학에 자율주행차 시험 및 연구 전문센터를 개설하고, 시범 운행 결과를 바탕으로 ’19년 초까지 새로운 도로교통법규를 개발할 예정


3) 노르웨이


 - 기술·혁신(2위), 소비자 수용성(3위) 부문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정책·제도(7위) 및 사회기반시설(7위) 부문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기록


 - ’18.1월 ‘운전자 동승, 최대 6인 탑승, 최대 시속 12km’를 조건으로 하는 공공도로 자율주행차 시범 운행을 합법화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업들은 소규모 자율주행버스 서비스 및 자율주행택시 서비스를 계획


4) 미국


 - 기술·혁신(3위) 부문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정책·제도(9위), 사회기반시설(8위) 및 소비자 수용성(6위) 부문에서는 전체 순위 대비 낮게 평가됨


 - ’18.10월 교통부(DOT)는 자율주행 가이드인 ‘자율주행 자동차 3.0’을 발표하였으며, 특히, 애리조나, 오하이오, 미시간, 매사추세츠, 버지니아 등의 지역이 적극적으로 자율주행차 기술의 발전 및 적용을 지원


5) 스웨덴


 - 소비자 수용성(4위), 기술·혁신(6위), 사회기반시설(6위) 부문에서의 우수한 성적에 비해 정책·제도(10위) 부문에서 낮은 평가를 기록


 - 노르웨이 다음으로 많은 전기자동차가 운행하는 국가로, ’19.7월부터 운전자 없이 공공도로에서 자율주행차를 운행·시험하는 것을 합법화할 예정


6) 한국


 - 사회기반시설(4위), 기술·혁신(7위) 부문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반면, 정책·제도(16위) 및 소비자 수용성(19위) 부문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됨


 - 정부 지원 자율주행차 시범 사업, 산업 파트너십, 전기 충전소, 4G 서비스 지역 등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3단계 수준의 자율주행차의 시범 운행만 허용하는 등 입법 과정의 효과성에서 낮은 점수를 기록


4대 부문

구성 척도

네덜란드

싱가포르

노르웨이

미국

웨덴

한국

정책·제도

(1) 자율주행차 규제

1.000

1.000

0.917

0.833

0.667

0.833

(2) 자율주행차 전담 부서

0.714

1.000

0.643

0.714

0.714

0.857

(3) KPMG 변화 대비도 중 정부 역량 부문 지수

0.766

1.000

0.856

0.527

0.968

0.380

(4) 세계경제포럼 - 입법기구 효과성

0.732

1.000

0.792

0.422

0.785

0.216

(5) 세계경제포럼 - 변화하는 규제 내 법제 시스템 효율성

0.837

0.697

0.654

0.986

0.730

0.391

(6) 정부 지원 자율주행차 시범 사업 수

0.917

1.000

0.833

0.917

0.667

1.000

(7) 데이터 공유 환경 평가

0.688

0.411

0.674

0.771

0.625

0.766

기술·혁신

(1) 산업 파트너십

0.667

0.833

0.917

1.000

0.750

1.000

(2) 자율주행차 기업 본사

0.129

0.039

0.126

0.176

0.179

0.043

(3) 자율주행차 관련 특허

0.016

0.000

0.009

0.340

0.214

0.863

(4) 자율주행차 관련 기업 투자

0.071

0.073

0.155

0.141

0.124

0.040

(5) 세계경제포럼 - 최신 기술의 존재 여부

0.907

0.771

0.971

0.931

0.937

0.633

(6) 세계경제포럼 - 혁신 역량

0.855

0.606

0.662

1.000

0.904

0.438

(7) 전기자동차의 시장 비중

0.069

0.002

1.000

0.031

0.161

0.033

사회

기반

시설

(1) 전기자동차 충전소

1.000

0.090

0.523

0.044

0.121

0.256

(2) GSMA 세계 연결성 지수 - 기반시설

0.772

1.000

0.887

0.649

0.725

0.747

(3) 4G 서비스 지역

0.756

0.640

0.853

0.780

0.719

1.000

(4) 세계경제포럼 글로벌 경쟁력 지수 중 도로 수준

0.933

0.994

0.445

0.445

0.745

0.766

(5) LPI 사회기반시설 지수

0.899

0.805

0.572

0.799

0.918

0.597

(6) KPMG 변화 대비도 중 사회기반시설 점수

0.784

0.882

0.588

0.706

0.667

0.784

소비자 수용성

(1) 자율주행차 수용에 대한 소비자 조사 결과

0.466

0.654

0.599

0.103

0.466

0.725

(2) 시범 지역 내 인구 비중

0.775

1.000

0.339

0.355

0.351

0.020

(3) KPMG 변화 대비도 중 기술 활용 부문 지수

0.985

0.832

0.960

0.852

1.000

0.362

(4) 세계경제포럼 기술 대비도

1.000

0.921

0.931

0.966

0.987

0.784

(5) 차량 공유 서비스 시장 비중

0.429

0.408

0.565

0.832

0.424

0.293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