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관련 통계 정보

통계

통계

「OECD 가입국 및 파트너 국가의 ICT 투자 현황」 주요내용

  • 국가 주요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4-19
  • 등록일 2019-05-24
  • 권호 143
첨부파일

「OECD 가입국 및 파트너 국가의 ICT 투자 현황」 주요내용
 ※ OECD는 OECD 국가 및 파트너 국가의 ICT 투자 트렌드 및 정책을 분석

□ OECD 국가의 ICT 투자액 분석 결과, 미국이 5,750억 달러(PPP)로 가장 많은 투자액을 기록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일본, 프랑스, 영국 순임


 - 모든 OECD 국가에서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베이스는 ICT 투자의 절반에서 2/3 정도의 비중을 차지


< OECD 국가의 ICT 투자액 (단위: 10억 달러) >

17.PNG


○ GDP 대비 ICT 투자 비중은 미국이 3.08%로 상위 10개국에 올랐으나, 네덜란드(4.21%), 체코(4.2%), 스웨덴(4.07%), 뉴질랜드(3.78%), 스위스(3.5%) 등의 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남


< OECD 국가의 GDP 대비 ICT 투자 비중(%) >

18.PNG
 

○ ICT 분야별로 보면, GDP 대비 ICT 투자 명목가치는 ICT 기기부문에서는 하락하였으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베이스 부문은 ’99~’15년간 4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GDP 가격 대비 ICT 가격 상승을 통제하고, GDP대비 ICT 투자 규모만을 볼 경우,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베이스는 65%까지 증가 


<  ICT 투자 집중도 : 명목 가치와 규모 >

19.PNG

 
○ OECD 국가와 파트너 국가들의 ICT 정책 추진 현황을 분석결과 대부분의 국가가 ICT 산업 지원정책을 시행


 - 분석대상인 38개국 모두에서 ICT 산업 성장 지원정책을 보유하고 있으며,최소 1개 이상의 혁신촉진 정책을 추진 중인 국가가 35개국, ICT 투자 촉진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국가가 24개국으로 나타남


 - 37개국이 최소 1개의 산업 내 ICT 기술 적용 확대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25개국이 기업‧개인‧공공기관의 금융적, 비금융적 지원을 제공


 - 금융적 지원 정책 중 ICT 기기구매나 ICT 개발지원금 제공이 가장 일반적인 방식이었으며, 비금융적 지원 정책은 훈련지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