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관련 통계 정보

통계

통계

「주요국의 상위 10% 논문 국제점유율 분석」 주요내용

  • 국가 주요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5-13
  • 등록일 2019-06-07
  • 권호 144
첨부파일

「주요국의 상위 10% 논문 국제점유율 분석」주요내용
 ※ 일본과학기술진흥기구(JST)는 과학기술의 국제 경쟁력 추이 파악을 목적으로 주요국 상위 10% 논문 수의 국제점유율(%)을 분야별로 분석

□ ’15~’17년도 한국, 중국, 일본의 상위 10% 논문의 국제점유율 분석결과, 중국이 대부분의 분야에서 1위인 것으로 나타남


  ※ ’15~’17년 발표된 상위 10% 논문 수의 3년간 평균값으로 국제점유율 도출


○ 중국은 1개 세부분야(감각계)를 제외한 전 분야에서 3개국 중 1위였으며, 한국과 일본은 분야에 따라 2위, 3위 순위가 변동


< 생명과학분야 상위 10% 논문의 국제점유율 순위 >

1.PNG



< 공학・화학・재료분야 상위 10% 논문의 국제점유율 순위 >

2.PNG


< 컴퓨터과학・수학 분야 상위 10% 논문의 국제점유율 순위 >

3.PNG
< 물리・에너지・환경 분야 상위 10% 논문의 국제점유율 순위 >

4.PNG


○ 미국・중국・일본 3국의 과거 20년간의 논문 점유율 변화해 보면, 미국은 1위 분야 수가 감소하는 반면, 중국은 1위 분야 수가 대폭적으로 증가


< 151개 연구분야의 상위 10% 논문 점유율 20년간 변화 >

구분

일본

중국

미국

1995-1997

3년평균

2015-2017

3년평균

1995-1997

3년평균

2015-2017

3년평균

1995-1997

3년평균

2015-2017

3년평균

1

분야 수

0

0

0

70

150

80

2

분야 수

31

0

0

64

1

70

5위 이내 분야 수

82

18

2

146

151

151


○ 일본의 경우 ’95~’97년 2위였던 31개 분야가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15~’17년에는 2위 분야가 전무


< 일본이 2위인 31개 분야 순위 변화(당시・10년후・20년후)>

5.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