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관련 통계 정보

통계

통계

「2019 유럽 혁신 스코어보드」 주요내용

  • 국가 주요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경제혁신
  • 원문발표일
  • 등록일 2019-07-05
  • 권호 146
첨부파일

2019 유럽 혁신 스코어보드주요내용

EU 집행위원회는 EU 회원국, EU 인접국, 경쟁국가의 혁신체계, 투자, 혁신활동, 파급효과(4개 부문, 27개 세부지표)를 평가하여 매해 혁신지수 발표

□ ’18년 EU평균 대비 비유럽국가(10개국) 평가결과, 우리나라가 137점으로 7년 연속 1위 기록


- 캐나다(118점), 호주(112), 일본(111점), EU(100점) 및 미국(99) 순으로 나타남


- 중국(80점)의 혁신 지수 성장률은 EU의 성장률 대비 2배 수준


- EU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나, 경쟁국가간 성과 격차 해소 필요

< ’18년 글로별 경쟁국가 혁신성과 비교 >

146-1.PNG



○ 24개 EU 회원국 평가결과, 평균 혁신 성과 수준이 전년대비 성과가 높아졌으며, ’11년 이후 EU 혁신지수는 8.8%p 상승


  - 이 같은 상승은 혁신친화적 환경(광대역망 보급 등), 인적자원(박사 졸업생), 기업투자(ICT), 연구시스템(국제협력)의 개선에 기인


< EU 국가의 혁신 성과 수준 >


146-2.PNG



- 에스토니아가 중위 혁신국가에서 상위 혁신국가로 상승한 반면, 룩셈부르크 및 영국은 혁신 리더에서 상위 혁신국가로 하락


< 혁신 성과에 따른 국가 구분 >

그룹

국가명

비고

혁신 리더

(Innovation Leaders)

덴마크, 핀란드, 네덜란드, 스웨덴

EU 평균 120% 이상 국가

상위 혁신국가

(Strong Innovators)

오스트리아, 벨기에, 에스토니아, 프랑스, 독일, 아일랜드, 룩셈부르크, 영국

EU 평균 90120% 사이 국가

중위 혁신국가

(Moderate Innovators)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체코, 그리스, 헝가리, 이탈리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말타, 폴란드, 포르투갈,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페인

EU 평균 5090% 사이 국가

하위 혁신국가

(Modest Innovators)

불가리아, 루마니아

EU 평균 50% 이하 국가



- ’11년 대비 ’18년에 리투아니아(25.7%p), 그리스(20.2%p), 라트비아(17.7%p)의 혁신지수가 대폭 상승한 반면, 슬로베니아(-10.6%p) 및 루마니아(-10.7%p)는 하락


< ’11~’18년 혁신지수 변화 >


146-3.PNG


○ ’20년 전망결과, EU와 한국과의 성과 차이가 더 커지고, 일본은 현재 수준을 유지, 미국 및 중국과의 격차는 좁아질 전망


< 2020년 혁신지수 전망 >


146-4.PNG



출처 : 유럽집행위원회(2019.6.17.)
https://ec.europa.eu/growth/industry/innovation/facts-figures/scoreboards_en


< 참고 : 혁신지수 산정지표 현황 >


○ 혁신체계・투자・혁신활동・파급효과 4개 부문 27개 세부지표를 활용해 현신 지수 산출


영역

부문

지표명

산식

혁신

체계

인적

자원

1.1.1 신규 박사 졸업자 수

천명당 25-34세 사이 인구 중 박사학위자

1.1.2 고등교육(대학) 이수자 수

25-34세 사이 인구 중 대학 졸업자 비율(%)

1.1.3 평생교육 대상 비율

25-64세 인구 중 평생교육 대상 비율(%)

연구

시스템 매력도

1.2.1 국제 과학 분야 공동논문 수

백만명당 국제 과학 분야 공동논문 수

1.2.2 상위 10% 인용 논문 수

전체 논문 중 상위 10% 인용 논문 비율(%)

1.2.3 박사과정생 중 외국인 비율

전체 학생 중 외국국적 학생 비율(%)

혁신친화환경

1.3.1 브로드밴드 사용률

광대역 통신망 사용 가능 기업 비율(%)

1.3.2 기회형 창업 비율

기회형 창업 비율

투자

재정지원

2.1.1 공공부문 R&D 투자

GDP 중 정부고등교육기관의 R&D투자 비율(%)

2.1.2 벤처 캐피털 지출액

GDP 중 벤처케피탈 지출액(%)

기업

투자

2.2.1 기업 R&D 투자

GDP 중 기업 부문 R&D 투자액(%)

2.2.2 R&D 혁신 지출

기업 매출 중 비 R&D 혁신 지출(%)

2.2.3 직원 역량강화 투자

ICT 역량 강화 연수 실시 기업 비율(%)

혁신

활동

혁신

기업

3.1.1 혁신 제품공정 보유 중소기업

중소기업 중 제품 및 공정 혁신기업 비율(%)

3.1.2 마케팅조직혁신 보유 중소기업

중소기업 중 마케팅 및 조직 혁신기업 비율(%)

3.1.3 내부혁신 보유 중소기업

중소기업 중 내부 혁신 기업 비율(%)

협력

3.2.1 중소기업 협력 비율

타 기관과 협력하는 혁신적 중소기업 비율(%)

3.2.2 공공-민간 공동 논문 수

인구 백만명 당 공공-민간 공동 논문

3.2.3 공공 R&D분야 민간 지출

GDP대비 민간의 공공분야 연구개발 지출 비율(%)

지식

재산

3.3.1 특허 출원 수

GDP 10억 유로당 PCT 특허 출원

3.3.2 상표권 출원 수

GDP 10억 유로당 상표권 출원

3.3.3 디자인권 출원 수

GDP 10억 유로당 디자인권 출원

파급

효과

고용

영향

4.1.1 지식집약 분야 고용 비율

전체 고용 중 지식집약분야 고용 비율(%)

4.1.2 고성장기업 고용 비율

고성장기업(10명 이상 사업장) 고용 비율(%)

매출

영향

4.2.1 중간 및 첨단기술 제품 수출

총 수출액 중 중간첨단기술 제품 비율(%)

4.2.2 지식 집약 서비스 수출

총 서비스 수출액 중 지식집약서비스 비율(%)

4.2.3 혁신 제품의 매출 비율

총 매출 중 혁신제품 매출 비율(%)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