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
통계
「OECD 연구개발 지표」주요내용
- 국가 주요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9-09-06
- 등록일 2019-09-06
- 권호 150
□ OECD 국가의 R&D 집약도*는 ’16년 2.34%에서 ’17년 2.37%로 증가
* GDP 대비 과학기술 R&D 지출
- 한국과 중국의 R&D 집약도가 급상승한 반면, OECD(평균), 미국, EU, 일본 등은 약간 증가한 수준
- 중국은 과감한 투자를 통해 ’12년 유럽을 제치고 ’17년 OECD 수준에 근접
- 한국은 ’91년 2%로 주요국 대비 낮은 수준이었으나, ’00년대 빠른 속도로 증가하여 ’17년 기준 가장 높은 4.55%의 R&D 집약도를 기록
< 국내 GDP 대비 R&D 지출 비중 추이 >
○ OECD의 ’17년 R&D 실질 지출액 규모는 ’16년 대비 4.1% 증가
- OECD국가 전체를 민간・공공・대학 부문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민간부문의 지출은 지난 1년간 5.0% 증가한 반면, 대학과 공공부문은 각각 2.2%, 1.4% 증가
- (미국) 금융위기로 민간 부문의 R&D 지출 규모는 ’10년 최저점을 기록했으나, 그 이후 대폭 상승하면서 공공 부문의 감소세를 상쇄
- (EU) 대학 중심의 R&D 구조는 ’15년부터 민간 부문이 주도
- (한국) 금융위기 직후 공공부문에서 주도하던 R&D 지출이 ’11년부터 민간 주도로 전환
- (일본) ’17년도 R&D 지출은 ’07년도와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남
< 2007년 대비 과학기술 연구개발 실질 지출액 규모 추이 >
| |
| |
|
○ OECD 공공부문 R&D 예산투자는 ‘07년 이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여 왔으며, ’18년에 2.1% 약간 증가한 추세
- 한국은 ’07년 이후 가파르게 증가하다, ’15년을 정점으로 다소 감소
- 미국은 ’07년 이후 ’09년을 제외하고 ’07년 보다 낮은 수준의 정부 투자 수행
< 공공 부문 과학기술 연구개발 예산투자 규모 추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