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관련 통계 정보

통계

통계

「2019 대학기술 동향조사」 주요내용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지식재산
  • 원문발표일
  • 등록일 2020-03-02
  • 권호 161

일본 특허청은 줄기세포,, AI, 나노섬유 기술 분야로 일본 8개 대학, 미국 3개 대학, 벨기에, 영국, 스위스, 독일, 중국(칭화대), 한국(KAIST), 싱가폴 각 1개 대학을 대상으로 조사 (2020.02)


□ (줄기세포 특허) 대부분은 자국 내 출원이 많으며,  교토대가 출원건수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오사카대, 도쿄대, 이화학연구소 등은 PCT 출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남


%ED%86%B5%EA%B3%841.PNG

○ (종합분석) 줄기세포 분야에서는 하버드대가 논문수가 월등하게 높으며, 기초연구개발력에서 1위를 차지

%ED%86%B5%EA%B3%842.PNG


 - 스탠포드대, 도쿄대, 교토대가 그 뒤를 따르고 있으며, 도쿄대는 스탠포드 대학에 비해 대학 논문의 평균 피인용수가 저조하여 전체 순위가 밀림

 - MIT와 스위스연방공대 로잔느는 논문 평균 피인용수가 높게 나타남

AI 기술의 출원이 가장 많은 기관은 칭화대이며, 그 다음으로 KAIST,  MIT 순임

 -3개 대학은 자국 출원 뿐 아니라, PCT 출원, 미국 출원이 모두 높아 해외 시장을 의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ED%86%B5%EA%B3%843.PNG

(종합 분석) AI 논문수가 많은 칭화대 및 싱가폴 국립대가 높은 점수를 차지

 -그 뒤로 논문 수는 이보다 적으나, 평균 피인용수가 높은 스탠포드대, MIT가 따르고 있으며, 일본 대학·기관은 논문수, 평균 피인용률 모두 상대적으로 저조



%ED%86%B5%EA%B3%844.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