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
통계
「OECD, 과학기술 혁신의 디지털화 AI 현황」 주요내용
- 국가 주요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6-19
- 등록일 2020-06-19
- 권호 169
「 ※ OECD, 과학기술 혁신의 디지털화 AI 현황 」 주요 내용 OECD는 세계 주요국의 과학, 기술, 혁신 부문의 디지털화 현황을 살펴보고,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 (2020.2) |
- 지난 10년동안 컴퓨터 공학분야의 피인용 상위 10% 논문은 룩셈부르크, 스위스, 미국 , 덴마크, 이스라엘 순으로 높은 인용률을
보유
- 중국은 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되는 나라이나, 상위 10% 피인용 논문 비중은 7%로 미국의 17%보다 여전히 낮은 수준에 그침
지난 10년동안 전분야 논문이 50% 증가하는 동안 AI 분야 논문은 150% 증가하였으며, 특히 중국이 AI 분야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하는 국가로 성장
- 같은 시기 EU국가와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19%와 12%로 감소
피인용 상위 10% 논문 기준으로 보면 EU 28개국과 미국은 여전히 높은 비중을 차지
- 그러나 2006년 대비 중국, 인도, 이란, 말레이시아는 피인용 상위 10% 논문 비중이 ‘16년 2배로 증가
미국의 과학기술 R&D는 NIH와 NSF에서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으며, ‘01~’17년 사이 R&D 예산은 모두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 NIH는 R&D 예산의 3.6인 8억 2,000만 달러(약 1조원)을 지출하고 있으며, NSF도 7.3%인 3억 8,800만 달러(4,700억원)을 AI 연구에 지원
- 같은 시기 EU국가와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19%와 12%로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