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정책 관련 통계 정보

통계
통계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활용」 주요내용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 등록일 2020-11-06
- 권호 178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활용」 주요 내용 일본 총무성은 디지털 환경의 특징, 코로나 19로 인한 사회경제 동향, 국내외 디지털 전략 등을 정리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활용’ 보고서를 발표*(’20.10) |
º 세계 디지털 경쟁순위에서 일본은 63개국 중 27위, 한국은 8위를 차지했으며, 전자정부 순위는 193개국 중 14위, 한국은 2위에 링크
º 일본의 ICT 투자는 90년대 중반부터 미국에 비해 저조한 편으로 ’15년 기준 일본 ICT 투자가 0.18조엔인 반편, 미국은 0.5조엔을 투자
º 일본의 ICT 투자는 90년대 중반부터 미국에 비해 저조하며, 현행 사업의 유지・운영을 위한 예산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등 새로운 사업 추진을 위한 투자 비율은 낮은 상황
- (브로드밴드기반) 지역 간 다소 격차가 있으나, FTTH(광섬유) 보급률은 매우 높은 수준임
- (정보통신 사용환경) 일본의 유선 브로드밴드(fixed broadband)에서 차지하는 광화이버 비율은 해외 각국에 비해 높은 수준임
º (정보통신기기 보급현황) 정보통신기기 보급 기기 중 모바일 단말기 전체*의 보급률이 가장 높았으며, 그 중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1위를 차지
* 유선전화, 컴퓨터, 스마트폰, 모바일단말기 전체, 태블릿형 단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