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
통계
「미국, 반도체 공급망 요소별 국가 경쟁력 평가」 주요내용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1-02-22
- 등록일 2021-02-22
- 권호 184
○ 글로벌 반도체 산업 분야별 부가가치 비중을 보면 미국이 반도체제조기기, 설계, 반도체 제조 부문에서 높은 시장 비중을 보이고 있으며, 전체 부가가치 중 39% 차지
- 일본과 유럽, 대만, 한국 등은 총 53%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은 아직 6%에 불과하나, 다양한 공급망을 자국에 유리하도록 변화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음
< 분야 및 국가별 반도체 산업 부가 가치 및 시장 비중 >
| 분야별 부가 가치 | 시장 비중 | ||||||
미국 | 한국 | 일본 | 대만 | 유럽 | 중국 | 기타 | ||
반도체 설계 자동화 | 1.5% | 96% | <1% | 3% | 0% | 0% | <1% | 0% |
핵심 지식재산권 | 0.9% | 52% | 0% | 0% | 1% | 43% | 2% | 2% |
웨이퍼 | 2.5% | 0% | 10% | 56% | 16% | 14% | 4% | 0% |
반도체 제조 기기 | 14.9% | 44% | 2% | 29% | <1% | 23% | 1% | 1% |
조립, 시험, 포장 기기 | 2.4% | 23% | 9% | 44% | 3% | 6% | 9% | 7% |
설계 | 29.8% | 47% | 19% | 10% | 6% | 10% | 5% | 3% |
반도체 제조 | 38.4% | 33% | 22% | 10% | 19% | 8% | 7% | 1% |
조립, 시험, 포장 | 9.6% | 28% | 13% | 7% | 29% | 5% | 14% | 4% |
전체 부가 가치 | 100.0% | 39% | 16% | 14% | 12% | 11% | 6% | 2% |
○ 반도체 산업 R&D 투자액을 기업 본사 위치별 분석하면 미국이 387억 달러로 가장 높고, R&D 상위 10대 기업 중 5개 기업이 미국기업에 해당
- 중국은 반도체 R&D 투자액이 26억 달러에 불과
○ ’19년 4,123억 달러 규모의 매출액을 기록한 반도체 생산 부문에서는 비메모리 반도체와 메모리 반도체가 큰 비중을 차지
○ 반도체 기업 매출액 대비 R&D 투자액으로 정의되는 R&D 집약도를 보면 미국이 16.4%를 기록한 반면 중국은 8.3%에 불과하나, 중국은 매년 150억 달러에 달하는 지원금을 반도체 산업에 제공
○ 미국은 종합 반도체 기업(IDM)과 팹리스(fabless) 방식의 사업 모델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한편, 대만은 파운드리 산업과 반도체 조립 및 테스트 아웃소싱 기업(OSAT), 중국은 조립・시험・포장방식에서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