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정책 관련 통계 정보

통계
통계
「중국, 인공지능 기술 발전 요인 및 과제」 주요내용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1-03-12
- 등록일 2021-04-01
- 권호 186
「※ 중국, 인공지능 기술 발전 요인 및 과제」 주요 내용 UN무역개발협의회(UNCTAD)는 프런티어 기술을 잘 활용하고, 수용하고, 적용할 수 있는 세계 각국의 물리적 투자, 인적 자본, 기술적 노력을 평가하고, 이를 프런티어 기술 대비 지수(Frontier Technologies Readiness Index)로 분석한 보고서 발표* * Technology and Innovation Report 2021 |
○ 프런티어 기술*은 현재 3,500억 달러(약 393조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25년까지 3조 2,000억 달러(약 3,600조원) 이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프런티어 기술은 디지털화와 연결성의 이점을 활용하는 기술로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블록체인, 5G, 3D 프린팅, 로보틱스, 드론, 유전자 조작, 나노기술, 태양광의 11개 기술
로 구성
○ 프런티어 기술 대비 지수는 미국(1위), 스위스(2위), 영국(3위) 순임
- 비유럽국가 중에는 싱가포르(5위)와 한국(7위)이 높은 순위를 받았으며, 중국과 러시아, 브라질 등 신흥국가 또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음
○ 일부 국가는 소득 수준에 비해 높은 수준의 프런티어 기술 대비 지수값을 가지고 있음
- 인도(1위), 필리핀(2위), 우크라이나(3위) 순이며, 한국은 15위를 차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