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정책 관련 통계 정보

통계
통계
「OECD, 기업 혁신 지표 보고서 발표」 주요 내용
- 국가 주요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2-05-13
- 등록일 2022-05-13
- 권호 214
º 의약품 기초 물질 제조, 컴퓨터, 전자, 광학 제품 등 특수 장비 제조, 정보통신 서비스 부문이 가장 높은 혁신율을 나타냄
- 혁신율은 제조업이나 R&D 집약도가 높은 산업에만 집중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전문적, 과학적, 기술적 활동이나 금융 및 보험 활동은 평균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남
- 과학적 R&D 서비스 산업은 제약부문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혁신율을 보였음
º 기업 프로세스 혁신이 제품과 서비스를 포함하는 제품 혁신보다 광범위하게 분포
- 도매 산업은 평균보다 높은 기업 프로세스 혁신율을 나타내 제조업과 비교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제품 혁신은 상대적으로 낮음
- 자동차 및 수송 장비 제조 등 제품의 내구성이 높은 산업에서도 기업 프로세스 혁신율보다 제품 혁신이 낮은 경향이 나타남
º 국가 내에서는 근로자 수가 많은 대기업이 더 높은 수준의 혁신율을 나타내 전체 근로자 중 2016년에서 2018년 사이 혁신을 도입한 기업에 종사하는 비중(58%)이 전체 기업 중 혁신 기업의 비중(47%)보다 높게 나타남
º 한 국가의 기업이 국제 시장에 참여하는 것에는 여러 가지 다른 요소가 작용하지만, 지표에 따르면 혁신 활동 기업이 비혁신 활동 기업보다 해외 시장에서 활동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혁신율이 높은 기업일수록 세계적인 시장에 대한 접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한국은 혁신/비혁신 기업 간 해외 시장 접근성의 격차가 큰 국가 중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