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
통계
「독일, 쾰른경제연구소, 특허출원 데이터로 살펴본 독일 자동차 산업 R&D」 주요 내용
- 국가 독일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3-04-14
- 등록일 2023-04-14
- 권호 236
□ 쾰른경제연구소(IW)는 2010~2019년 특허 출원 데이터베이스 분석을 통해 독일 자동차 산업의 연구 활동 경향성 분석 결과 발표(3.28)
ㅇ (대상 및 기준) 총 1,160개 자동차 회사 특허 중 693개로 한정하여 분석
※ 독일에서 발생한 지식 생산 활동으로 한정하고, ‘독일 내 독일 기업’이 수행한 연구 또는 ‘독일 내 해외 기업(Opel, Ford)’의 특허 기준으로 선별
□ 주요현황 및 결과
ㅇ (현황) 독일 자동차 산업은 2000년 들어 지속적 성장 이후 위축되는 추세
- 프리미엄 차량 중심의 해외 수출 능력을 통해 강력한 성장세 유지하다 2020년 이전부터 위축 추세
* 2016~2019년 독일 승용차 생산량은 1/5로 감소하여 1991년 수준으로 하락, 팬데믹과 글로벌 공급망 이슈가 겹쳐 2021년은 1975년 수준으로 하락
ㅇ (특허) 2010~2019년 자동차 특허 출원 건수는 36%(13,600→18,500)건 증가하였으며, 상위 소수 업체가 이를 주도
- 완성차 업체는 55%, 상위 3개 부품업체는 36% 증가, 다른 부품/공급업체에서는 정체
- ’19년에는 모든 자동차 특허 출원 중 4/5가 완성차 업체와 상위 3개 부품업체에서 발생
- ’19년 기준, 자동차 특허 출원 건수가 전년 대비 1% 감소
□ 시사점
ㅇ 연구 초점이 전기 파워트레인으로의 이동에 따른 전동화 연구개발 관심 증대
ㅇ 전기 파워트레인에서의 부품 업체 역할 감소
- 내연 기관 파워트레인의 경우, 상위 3대 부품업체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반면, 전기 파워트레인은 완성차(승용차 및 상용차) 업체 비중이 높아짐
ㅇ 완성차 대기업 중심의 혁신 초점 이동
- 완성차 업체는 전반적으로 내연기관 파워트레인의 특허출원 비중은 지속 감소, 반면, 전기 파워트레인 특허 출원 비중은 꾸준히 증가
- 그러나, 전기 파워트레인은 이미 개발 완료에 근접한 기술로, 글로벌 자동차 산업 경쟁 환경이 새로운 국면에 진입하였음을 시사
※ ▲배터리 에너지 밀도, ▲배터리 제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성 ▲기존 부품과의 최적화 분야는 연구개발 수요 높은 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