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
통계
「유럽, 혁신 스코어보드 2023 발표」 주요 내용
- 국가 주요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3-08-11
- 등록일 2023-08-11
- 권호 244
□ 지난 8년간 대부분의 EU 회원국의 혁신 성과가 향상되었으나, 최근 2년간 혁신 성과 성장률이 0.6% 포인트 감소하는 등 성과 향상이 다소 정체
ㅇ EU의 혁신성과(평균)는 2016년 이후 8.5% 포인트 증가하였으며, 가장 큰 폭으로 성장한 국가는 키프로스, 에스토니아, 그리스, 체코 (+20% 이상)
※ 올해는 덴마크는 수년 동안 1위를 차지하던 스웨덴을 제치고 EU 최고 혁신국가가 되었으며, 헝가리는 후발혁신국에서 일반혁신국으로 상승하였고, 프랑스와 룩셈부르크는 EU 평균에 비해 소폭의 성과 저하를 보여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
ㅇ 최근 7년(2016-2023) 사이 EU 27개 회원국 간 성과 격차가 다소 감소
- 혁신선도국과 혁신우위국 그룹 내 혁신 성과 차이가 많이 좁혀졌으나, 후발혁신국 내 성과 차이는 여전히 큰 상태
※ 전반적으로 비즈니스 프로세스 혁신, 국제 공동 논문 출간, 과학기술 인적자원 모빌리티(이동성), 벤처캐피탈 투자 항목에서 성과가 두드러진 개선을 보임
□ 국가순위에 따라 4개 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혁신 성과가 EU 평균 대비 125% 이상인 혁신선도국가에는 덴마크, 스웨덴, 핀란드, 네덜란드, 벨기에가 해당
ㅇ 혁신 성과가 EU 평균 대비 70% 미만인 후발혁신국가에는 크로아티아, 슬로바키아, 폴란드, 라트비아, 불가리아, 루마니아가 해당
□ 글로벌 수준에서는 한국이 최고 혁신국가이며, 캐나다, 미국, 호주, EU 등이 그 뒤를 따름
ㅇ 2016-2023년 사이 자체 혁신 성과 성장률을 비교할 경우 혁신 성과 성장 폭은 중국이 33.9%로 가장 높고, 한국, 캐나다 미국이 그 뒤를 이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