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맥킨지, 성장 클러스터(Growth Clusters) 육성을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 제언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4-07-22
  • 등록일 2014-08-18
  • 권호 29

글로벌 컨설팅기업 맥킨지(McKinsey)는 성장클러스터(Growth Cluster)* 육성을 위한 시스템적 접근의 지방정부

   역할을 제안(2014.7.)


   * 국가차원의 집중된 특정 성장축을 지역 등으로 분산‧편재하는 것을 의미(추가 정보는 Van den Berg et al.,(2001), “Growth

       clusters in European cities: an integral approach." Urban Studies 38.1, pp.185-205. 참조)


 ○ 성공적인 성장 클러스터 육성을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과 단계별 실행방안을 대표적인 대도시별* 창업 클러스터의 사례와 함께

     분석


  * East London Tech City(런던), New York Digital City(뉴욕), Start-up City Tel Aviv(텔 아비브), 베를린


  - 실리콘밸리 등의 혁신클러스터는 정책이 아닌 지역차원에서 자발적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지역(도시) 차원의 정책적 접근이

     더욱 현실적‧효과적


□ 성장 클러스터 육성을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은 시스템적으로 창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


○ 지방정부는 기업가와 대학을 연계시켜주고,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행정적 문제 해결 등의 장애물 제거와 창업에 매력적인 환경

    인프라 구축하는데 집중


   ※ (뉴욕)응용과학을 위한 tech campus설립, (텔 아비브) 기업가를 위한 근무공간 제공, (베를린)스타트업의 자본조달 지원을

      위하여 민간이 운영하는 펀드를 조성

□ 런던 Tech City등의 사례를 통하여 도출된 성공적 성장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스타트업 정책의 요건은 두 가지


 ○ 급변하는 환경과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수요에 적시에 맞추어 정책을 변화

 

  - 성공창업자를 가려내는 역할 보다 성공환경을 조성하는데 집중하는 것이 타당


○ 벤처캐피탈, 대학, 연구소 등 다양한 민간 부문 주체들의 이해관계를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중요


시스템적인 창업 환경 조성을 통한 성장 클러스터 육성을 위하여 지방정부의 장(長) 직속의 집행부서(Delivery

   Units)의 설치를 제안


○ 맥킨지는 성공적인 집행부서의 요건을 다음과 같이 제시


 - 탁월한 성과를 낸 경험이 있는 훌륭한 리더


 - 최고 의사결정자에 집적 연계


 - 훌륭한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 능력을 가진 조직원


 - 타 정부부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연성권력(Soft Power)' 활용 능력


○ 집행부서 설치를 위한 3단계 방안을 제시


 - (1단계: 조직) 탁월한 능력을 가진, 적절한 인재의 채용


 - (2단계: 집행 연구소) 정책 실행을 위한 심층연구 및 평가를 위한 집행 연구소 설치 


< 집행 연구소의 Premortem Analysis 예시 > 



 - (3단계: 빠른 성과도출과 수시 정책실행 수정) 비교적 단기에 달성이 가능한 성과에 집중하고, 정책 환경 변화에 신속히 대응

□ 시사점


 ○ 성장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맥킨지의 제안은 의사결정이 단순화된 지방정부 장 직속조직 설치 및 운영의 유연성으로 요약


  - 능력 있는 집행조직을 통해 실질적으로 구체적인 정책을 수립


  - 이해관계의 조정과 피드백을 통한 단계적 정책접근 방식이 효과적


  - 단기적으로 달성 가능한 목표를 통해 평가 목표의 점진적 확장과 심화가 중요


 ○ 우리나라는 지역 창조경제혁신센터를 ‘14년 8월 현재 대전 및 대구 2곳이 운영 중에 있으며 향후 15개소 추가 개설 예정


  - 지역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자체 프로그램 이외 지역 내 다양한 혁신 및 창업지원 유관기관 간 연계가 핵심 역량


 ○ 현재 운영중인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지역 혁신 및 창업 hub의 역할을 내세운 만큼 지방정부와 긴밀한 연계 필요


  - ‘창조경제’ 구현이라는 개념적‧거시적 목표 달성을 추진하기 보다는 실제 단기적으로 실현가능한 목표설정 및 추진 필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