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2018 글로벌 기술 혁신 보고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8-04-27
  • 등록일 2018-04-30
  • 권호 117

KPMG는 ‘18년 세계 기술 혁신 동향에 대한 글로벌 기술 혁신 보고서*를 발표(‘18.3.)

 

  * 2018 Global Technology Innovation Report 

 

  ※ 포춘 500대 기업 15개 국가의 주요 임원 767명을 대상으로 조사 

 

○ 세계 혁신을 주도하는 국가로 미국, 중국, 인도, 일본, 영국 순으로 선정 

 

 - 주요 혁신요인으로 미국은 사업의 확장이 높게 나타난 반면, 중국은 정부와 기업 간 긴밀한 협력, 공격적 투자, 거대한 시장을 제시 

 

 - 실리콘밸리 외 혁신 허브로 3년 연속 상하이가 1위를 차지 

 

< 2018 글로벌 기술 혁신 보고서 혁신 국가 및 도시 순위 >

 


○ 혁신 촉진 방안으로 승진이나 경력개발(27%)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재정적 인센티브(16%), 현금(14%)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혁신을 파악하는 척도로는 매출 성장(33%), 시장점유율(32%), 투자수익률(30%)이 가장 많이 활용  

 

○ 향후 기술 혁신을 주도할 회사로 구글이 전년에 이어 1위를 차지하였으며,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알리바바, 아마존 순으로 높은 순위를 기록  


< 2018 글로벌 기술 혁신 보고서 혁신 기업 및 혁신가 순위 >



○ 16개 국가 중 주요 혁신주도 국가에 대한 특징을 다음과 같이 분석

 

 1) 미국  

 

 - 플랫폼 기업이 기술 발전과 경제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인공지능·사물인터넷·로보틱스와 같은 첨단산업 분야의 투자가 증가

 

 2) 중국  

 

 - ‘일대일로’, ‘홍콩·마카오·광동성 통합 경제권 사업’, ‘중국제조 2025’ 등 대형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기술혁신의 세계 선도주자로 거듭  

 

 - 인적자본의 규모 및 역량 측면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향후 지속적인 발전을 예상

 

 3) 인도 

 

 - ’16년 기준 950개 다국적 기업이 1,200여개의 혁신 R&D센터를 개설하였고, ’창업 인도 미션(Start-up India Mission)’ 정책으로 창업이 더욱 성장할 전망

 

 4) 일본  

 

 - 로봇프로세스자동화(RPA) 기술은 일본이 직면하고 있는 노동 문제를 해결할 방안으로 기대되나, 한편 일자리 대체와 인력 감원 현상이 불가피  

 

 - 고령화 문제 심화로, 인공지능 기술 활용이 더욱 보편화 될 것임

 

 5) 영국  

 

 - ’17년 시간당 1개 기업의 창업이 일어나고, 근로자 수가 24% 증가하였으며, R&D 시설이 9개에서 11개로 증가하는 등 기술 산업

발전이 빠르게 증가

 

 6) 독일  

 

 - 전통적으로 제조업과 생명과학, 자동차 분야에서 강점을 보이며, 사물인터넷, 디지털 공장 등 첨단기술을 통해 생산시설을 개선해 나가는데 주력

 

 7) 한국  

 

 - 북한의 핵 위협과 사드 설치로 인한 중국과의 갈등에도 불구하고 전자산업과 제조업에서 강점을 보이는 기술 산업은 수출 주도형 한국 경제를 주도  

 

 - 향후 I-Korea 4.0 사업을 추진하고, 5G와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차 등 첨단기술에 전폭적 투자를 지원할 전망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