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개인정보보호규정이 인공지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유럽연합(EU)
  • 생성기관 데이터혁신센터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4-27
  • 등록일 2018-04-30
  • 권호 117

데이터혁신센터는 EU의 개인정보보호규정(GDPR)이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규제 완화를 제안(’18.3.)

 

  * The Impact of the EU’s New Data Protection Regulation on AI 

 

○ 금년 5월부터 적용될 개인정보보호규정(GDPR)이 지나치게 엄격하여 인공지능 기술 발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  

 

 - 기업이 특정 알고리즘 결정에 대해 반드시 사람이 직접 검토하도록 하면 인공지능의 전체적인 기술 비용을 크게 증가 시킬 전망  

 

 - 알고리즘의 결정 과정 관련 투명한 설명 요구조건은 근본적으로 인공지능의 정확성과 상충되는 점이 있어 정확성이 감소되는 결과를 초래  

 

 - 개인정보 삭제 요청 권리는 인공지능이 데이터를 기억하고 학습하는 과정을 방해  

 

 - 개인정보의 리퍼포징*(repurposing) 요청 금지 조항은 인공지능 기술 개선을 제한  

 

  * 사이버 공간에서 얻은 정보데이터를 활용하여 다른 정보를 제공 

 

○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EU의 개인정보보호규정 개정을 권고  

 

 - 불필요하게 데이터 활용을 제한하여 데이터 혁신을 저해하는 대신,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는 방향으로 개인정보보호규정을 간소화 

 

 - 투명성과 정확성 관련 요건을 사람이나 알고리즘이 아닌 기술 중립적으로 변화 요구 

 

 - 정보공개 시 기업이 어떻게 알고리즘을 작동하고 어떤 데이터가 사용되는지 기본적 설명만 제공하도록 개정 

 

 - 고객의 정보 삭제 요청을 허용하는 과정에서 다른 고객에 대한 인공지능의 알고리즘 기능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조항 개선 

 

 - 소비자의 추가적 동의 없이도 개인 정보를 다른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리퍼포징 허용  

 

 - 기업의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벌금을 과실 수준에 비례해 부과하도록 하여 기업이 소비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도록 하는 인센티브 제공  

 

 - 공익을 위해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할 경우, 일부 데이터 가공 과정에 대해 개인정보보호규정을 면제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