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스마트시티 경쟁력 수준 분석 결과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ABIresearch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5-11
  • 등록일 2018-05-14
  • 권호 118

ㅁ 시장조사 연구기관인 ABI 리서치는 세계 10대 도시의 스마트 시티 경쟁력 순위를 발표(’18.5.) 

 

  ※ 도시별 혼잡성, 대기 질, GDP, 범죄율 및 생활비 등에 관한 혁신프로그램, 전략, 정책성과 등을 기준으로 평가  

 

○ 평가 결과, 싱가포르가 1위를 차지하였으며, 두바이, 런던, 뉴욕, 파리, 도쿄, 서울, 로스엔젤로스, 베이징, 상하이 순으로 나타남

 

1) 싱가포르 

 

 - 국제적인 물류 허브 도시로서 전 평가지표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 

 

 - ICT 기술을 통해 다양한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스마트 국가 이니셔티브를 수립 

 

 - 특히, 무인택시, 자율 주행차 등 모빌리티 서비스(MaaS: Mobility as a Service)*, 운송 서비스(Freight as a Service)** 관련 혁신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착수  

 

  * 모든 교통수단을 하나의 서비스 플랫폼 위에 통합하여 개인 이동의 편의성을 제공 

 

  ** 주문형 운송, 화물 중개, 트럭 운송 관련 공유 경제 비즈니스 모델 채택

 

2) 두바이 

 

 - ’30년까지 블록체인 등의 분산원장 기술을 정부 거래에 적용할 예정 

 

 - 공공 서비스 질을 향상하고 시민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행복지수’(Hppiness Index)를 설정하여 95% 달성 목표 제시

 

3) 런던 

 

 - 스마트 시티 응용 개발자 및 창업 기업의 다양한 생태계를 가능하게 하는 개방형 데이터 정책 수립 

 

○ 상하이와 베이징은 스마트 그리드, 자전거 쉐어, 스마트 파킹 등 관련 정책을 시행 중에 있으나, 도시 혼잡, 오염 등 심각한 문제에 직면 

 

 - 향후 스마트 센서 솔루션 개발을 통해 미래 순위를 높일 수 있는 막대한 잠재력 보유  

 

○ 스마트 도시 기술을 활용하면 비용 절감 효과가 나타남을 강조 

 

 - 스마트 도시 기술을 통해 ’22년까지 연간 5조 달러 이상의 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대도시 내 기업의 경우 총 비용의 25%인 140억 달러 절감 가능 


ㅁ 올해 초 마켓리서치기업인 Juniper Research는 글로벌 스마트 도시 성과 인덱스(The Global Smart City Performance Index)를 발표(’18.3.) 

 

○ 글로벌 스마트 도시 성과 인덱스는 인터넷 기술과 인터넷 서비스의 통합 기준을 토대로 20대 스마트 도시 선정 

 

 - 이동성, 건강관리, 안전성, 생산성 등 4대 핵심지표 적용 

 

○ 조사 결과, 싱가포르는 “스마트 국가” 이니셔티브 정책을 통해 세계 1위를 차지 

 

 - 도로 위의 차량 수를 줄이기 위해 자동차 등록 제한 정책과 함께 스마트하게 연결된 교통 솔루션을 적용  

 

 - 디지털 서비스 플랫폼과 원격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한 다양한 기술을 통해 노인 의료 서비스 제공 문제를 해결 

 

 - 범죄행동을 탐지하기 위해 스마트 미디어 감지 시스템을 사용한 시범 서비스 착수  

 

 - 특화된 테스트베드 환경을 통한 시민들의 디지털 서비스 접근 

 

 - 그 외, 아시아 국가에서는 서울이 6위, 도쿄가 8위를 기록하였으며, 두바이도 11위에 등극 


< 지표별 주요 도시 순위(’17) >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