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주요국 연구개발전략 보고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과학기술진흥기구 연구개발전략센터(CRDS)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8-05-11
  • 등록일 2018-05-14
  • 권호 118

ㅁ 일본과학기술진흥기구(JST) 연구개발전략센터(CRDS)는 올해 ‘주요국 연구개발전략’ 보고서를 발표(’18.4.) 

 

1. 미국 


ㅇ 과학기술 전략의 기본적인 방향성 및 우선순위 결정은 대통령이 담당하나, 종합적 계획은 없으며, 부처와 과학기술 관련 기관별로 전략 수립 

 

  ※ 이노베이션 전략(’09,’11,’15 개정), 이노베이션경쟁력법 발효(’17), 경쟁력 이니셔티브(’06) 


< 중점 기술 분야별 미국의 주요 전략 >

분야

주요 전략

환경

’17년 예산편성 우선분야로 기후변화, 청정에너지, 지구관측, 해양·북극 문제 선정

DOE 전략계획(’14~’18)하에 172(전년대비 19% 증가) 달러 배분

미국 기후변화연구프로그램(USGCRP)28억 달러로 13개 부처에서 연합 추진

과학재단(NSF)에서 음식·에너지·물 시스템 분야에 6,200만 달러 배분

생명과학

NIH을 중심으로 Brain Initiative 등 대형 Brain Initiative 추진

NIH ’16~’20 5개년 전략계획 발표

NIH R&D예산으로 ’17 예산() 331억 달러(전년대비 2% 증가) 요구

NSF, DOE는 합성생물학 및 바이오리파이너리(biorefinery) 연구 추진

시스템 정보과학

네트워크 정보기술연구개발(NITRD)45.4억 달러 요구 (2017 예산안)

국가 전략적 컴퓨터 이니셔티브에 DOE 2.9억 달러, 과학재단(NSF) 0.3억 달러 요구

과학재단 공학국은 시스템과학 관련 기초연구를 지원하는시스템공학설계프로그램 운영

나노기술

’16년 국가 나노기술계획(NNI)6NNI 전략계획으로 변경

National Strategic Computing Initiative, BRAIN Initiative와 연계하여 신 컴퓨팅 개발

NNI12억 달러(’18년 예산안) 배분 (’17년 대비 2.6억 달러 감소)

 


2. 일본 


ㅇ 종합과학기술·이노베이션 회의가 중심이 되어 과학기술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과학기술 정책 추진  

 

  ※ 미래투자전략(’17), 제5기 과학기술기본계획(’16~’20), 과학기술이노베이션 종합전략(’13년 이후 매년 발표) 

 

< 중점 기술 분야별 일본의 주요 전략 >

분야

주요 전략

환경

에너지환경 이노베이션 전략(NESTI2050) 수소 기본전략(’17.12.)

지구온난화 대책계획(’16.5.) 장기저탄소 비전(’17.3.)

장기지구 온난화 대책 플랫폼 보고서(’17.4.)

생명과학

이노베이션 종합전략에서 Society 5.0 건강 장수사회 구축 제시(’16)

  - 지역포괄케어시스템, 스마트 푸드체인시스템, 스마트생산시스템 포함

바이오테크놀로지 이노베이션 추진을 위한 정부전략 수립 검토 착수(’17.10)

시스템 정보과학

Society 5.0 초스마트 사회실현 목표 제시(’16)

4차 산업혁명 민관회의 산하에 인공지능기술 전략회의, 4차 산업혁명 인재육성 추진회의, 로봇혁명 실현회의에서 분야별 전략, 인공지능기술전략 수립

나노기술

Society 5.0 종합형 재료개발시스템 제시

과학기술이노베이션 종합전략(’17)에서 로봇, 센서 등 기반기술을 뒷받침하기 위해 소재, 나노테크놀로지, , 양자 기술 강화 명시

 


3. 중국 

 

ㅇ 종합적인 중장기 계획 하에 수립된 전인대의 5개년 계획에 따라 각 부처 및 기관에서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 

 

  ※ 국가 중장기 과학기술 발전계획 요강(’06~’20), 국가혁신구동발전전략강요(’16~’30), 13차 5개년 국가 과학기술 혁신계획(’16~’20) 


< 중점 기술 분야별 중국의 주요 전략 >

분야

주요 전략

환경

에너지중장기발전계획강요(’04~’20) 내 중국 에너지절약정책기술정책대강(’07), 재생에너지 중장기 발전계획(’07) 등 수립

에너지 기술 134개년 계획, 에너지 기술혁명 혁신행동계획(’16~’30) 발표

생명과학

국가혁신구동발전전략강요(’16~’30)를 통해 산업기술체계 혁신 추진

135개년 국가 과학기술혁신 계획(’16~’20) 내 뇌과학, 육종기술, 정밀의료 등 포함

시스템 정보과학

135개년 국가과학기술혁신계획의 중대과학기술프로젝트로 양자통신·양자컴퓨터, 사이버보안, 우주 통신망, 차세대 정보통신기술 등 선정

중국제조 202510대 중점분야로 차세대 정보통신기술 선정

나노기술

중장기과학기술발전계획강요(’06~’20)에서 첨단기술로 신재료 기술, 중대과학연구 분야로 나노연구 선정

과학기술혁신 제135개년계획에서 15대 중대과학기술프로젝트로 중점신소재연구개발 응용, 양자통신·양자컴퓨터, 스마트 제조·로봇 등 선정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